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전당대회에서 승리하면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지난 4·10 총선 이후 넉 달여 만에 여야 대표로 다시 마주하게 됐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시행 유예 등 민생 현안에서 실용 행보를 예고한 이 대표와 취임 이후 ‘격차 해소’를 내세우며 민생 정책에 집중해 온 한 대표가 중도층을 겨냥한 정책 경쟁에 경쟁적으로 나설 것이란 관측이 많다. 다만 여야 간 정쟁으로 번질 수 있는 뇌관이 적지 않아 양측 갈등이 더 격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18일 통화에서 “국회 다수당의 대표가 선출된 만큼 금투세 문제나 ‘티몬·위메프 사태’ 같은 민생 현안을 두고 여야 대표가 만나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협력할 건 협력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당내 일부 반발에도 금투세 유예나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완화 필요성을 언급해 왔다. 이에 국민의힘에서는 세제 등 민생 현안에서 이 대표 체제의 민주당과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거란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한 대표도 과거 법무부 장관이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총선을 지휘하면서 이 대표에게 날을 세워온 것과 달리 최근에는 “정치의 상대방이니 대화와 설득을 하고 필요할 때는 설득당하겠다”며 이 대표와의 대화 문을 열어두는 모습이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두 대표가 중도층 외연 확장을 위한 민생 정책의 주도권을 서로 가지려고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여야 간 갈등이 폭발할 뇌관이 여럿 있다는 점은 변수다. 당장 영수회담을 두고도 민주당은 이 대표와 윤석열 대통령 간 영수회담을 요구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이 대표와 한 대표 간 회동이 먼저라는 입장을 보인다. 민주당이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과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 등을 고리로 정부·여당에 ‘친일 공세’를 펴는 것도 여야 간 갈등을 격화시킬 요인으로 꼽힌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당장 선거가 없기 때문에 여야 대표가 모두 중도층 확장의 실익이 없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과 싸우려 들 것이고, 한 대표 역시 그런 이 대표에게 날을 안 세울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민의힘은 이날 민주당을 향해 “8월 말까지 국회 연금개혁특위가 구성되도록 조건 없이 논의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말 대통령실이 연금개혁 정부안을 마련하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이종선 정우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