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정상은 18일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 1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미합중국, 일본국의 협력이 오늘날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하며, 번영하는 미래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는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갖고 있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앞으로도 3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에 함께 맞서고,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을 굳건히 유지하겠다는 선언이다. 대통령실은 3국이 연내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에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캠프데이비드에서 수립한 원칙은 우리의 전례 없는 협력의 로드맵이 되고 있다”며 “우리는 지역과 세계의 안보와 번영의 진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일 정상은 “철통같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으로 연결된 안보 협력을 제고하고, 공동의 경제적·기술적 우선순위를 더욱 일치시켜 나가며, 글로벌 보건 이니셔티브 추진을 위한 공조를 증진하고, 견고한 인적 유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우리의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강조했다.
한·미·일 정상은 지난해 8월 18일 바이든 대통령 별장인 미국 메릴랜드주 캠프 데이비드에서 ‘캠프데이비드 정신’ ‘캠프데이비드 원칙’ ‘3자 협의에 대한 공약’을 채택했다. 한·미·일 정상은 이날 “지난 1년간 우리는 인도·태평양 지역과 그 너머의 우선순위에 대해 긴밀히 협의·공조했다”며 “공동의 목표에 대한 우리의 변함없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표된 공동성명은 향후 예정된 미·일 지도자 교체에도 불구하고 북·러 밀착 등에 맞선 3국 협력이 지속될 것이란 의지로 해석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각각 재선 도전을 포기한 상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세 주인공이 영원히 한자리에 남아 있을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일본과 미국의 지도부 교체와 관계없이 캠프데이비드에 대한 지지는 확고하다”고 말했다.
3국 정상이 ‘최소 연 1회’ 열기로 합의한 정상회의는 연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올해 내로 한 번은 3국 정상회의가 열리면 좋겠다는 공감대를 워싱턴, 도쿄와 같이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할지의 논의는 초기 단계”라고 말했다.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은 이와 관련해 취임 첫 출장인 미국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상태다. 3국 정상은 10월 한·아세안 정상회의,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연내 예정된 다자 정상회의를 계기로 별도의 회담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은 한편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의 ‘중요한 건 일본의 마음’ 발언과 관련해 “인·태 지역에서 한국이 적극적 역할을 펴는 모습을 경외하게 만듦으로써 일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이 우리를 존중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강력한 경쟁자로 여기면서 긴장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