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회관 설치 놓고 쪼개진 인천 지자체

입력 2024-08-16 02:28
인천 남부권인 남동구에 있는 인천문화예술회관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북부권을 위한 광역 문화예술회관을 대신해 구립 문화예술회관 3개를 건립하겠다는 추진 방안을 발표하자 건립 비용의 50%를 부담하게 된 기초자치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계양구는 15일 입장문을 통해 “인천 북부권에서 가장 적합한 입지와 최적의 여건을 앞세워 광역 문화예술회관 유치에 나섰던 우리로서는 매우 아쉽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수백억원이 넘는 건축비와 매년 예상되는 수십억원의 운영비 부담은 열악한 구의 재정여건을 감안했을 때 대단히 어려운 문제”라며 “전국의 어느 기초단체도 선뜻 수용하기가 힘든 결과”라고 주장했다.

서구는 전날 시가 추진 방안을 발표한 직후 입장문에서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대안이 구별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진행하는 것으로 결론 난 것에 대해서도 사실상 시가 차원이 다른 문제를 혼동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치구별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라며 “가장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예산 확보의 어려움 등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시는 앞서 북부권을 위해 1000석 이상의 종합공연장을 갖춘 광역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구상했다. 그러나 관련 용역을 마무리한 이후 경제성 부족, 기초단체 간 과열된 유치 경쟁, 지역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광역 문화예술회관 대신 구립 문화예술회관 3개를 나눠 건립하는 것으로 추진 방안을 정했다. 3기 신도시인 계양테크노밸리가 들어설 계양구, 2026년 7월 예정된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서구로부터 분리될 검단구, 동구와 합쳐지는 중구로부터 나뉠 영종구 등 기초단체 3곳에 300∼700석 규모의 일반공연장을 갖춘 구립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구립 문화예술회관 3개 건립에 필요한 예산 중 최대 50%(1500억원 추산)만 투입하겠다는 지원 방안도 정한 상태다. 이에 따라 시가 직접 건립한 광역 문화예술회관 유치를 기대했던 기초단체들 모두 구립 문화예술회관을 지으려면 나머지 50%를 부담해야 한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