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최고기온이 36도를 넘어선 지난 10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걷자 시원한 바람이 느껴졌다. 메인 보행로 양쪽으로 늘어선 상가 58곳 중 55곳이 문을 활짝 연 채 냉방기기를 가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개문냉방’ 중인 상점에선 화장품이나 신발, 식품, 액세서리 등을 팔고 있었다.
지난 1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인근 상점 대부분도 18~23도에 맞춰 에어컨을 켠 채 문을 열고 영업하고 있었다. 야외 테이블에서 음식을 먹는 손님들 앞까지 에어컨 바람이 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상인들은 무더운 여름철에 손님을 상점 안으로 끌어들이려면 하는 수 없이 냉방기기를 켠 채 문을 열어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명동에서 기념품을 판매하는 상인 이모(35)씨는 “에너지 소모가 큰 건 알지만 손님을 유치하려면 어쩔 수 없다”며 “문을 열어놓고 영업해도 여름철 전기요금은 80만원 전후로 나온다”고 말했다. 12년째 명동에서 가방을 파는 김모(52)씨도 “주변에 문을 닫아놓는 상점이 없으니 우리도 열어둔다”고 했다.
상인들은 전기요금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누진제가 적용되는 주택용 전기요금과 달리 일반용(상업용) 전기요금은 킬로와트시(㎾h)당 단가가 고정돼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문을 열고 장사해도 닫아두는 것에 비해 전기요금이 한 달에 3만~4만원밖에 더 안 나온다”며 “문을 닫으면 손님이 오지 않아 더 큰 손실이 난다”고 말했다. 홍대에서 양말을 판매하는 한 상인도 “5평 되는 가게에 여름철 전기요금은 20만원 전후로 나온다”며 “전기요금보다는 손님이 줄어드는 게 더 걱정”이라고 했다.
개문냉방은 뜨거운 도심 온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개문 냉방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현상”이라며 “냉기가 밖으로 나간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에어컨 실외기가 더 많이 돌아서 도심에선 열기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개문냉방은 매년 여름철 전력 낭비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에어컨을 켜둔 채 문을 열고 영업 시 문을 닫을 때보다 전력량이 66% 정도 더 소모된다. 지난 8일 기준 국내 전력 수요는 95.2GW로, 2022년 12월(94.5GW)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현행법상 개문냉방은 불법이지만 실효성 있는 단속이나 계도 근거가 없다. 개문냉방 영업 단속은 전력 예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황인 ‘에너지 사용 제한 조치’를 내렸을 때만 가능하다.
정부는 2011년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을 겪은 뒤 본격적인 개문냉방 단속을 해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환기 등 방역 수칙이 중요해지면서 2020년 이후 단속을 하지 않는다. 가장 최근에 계도 조치가 내려진 건 2016년 8월(경고 121건, 과태료 2건)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단속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상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