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복지사각지대 초기상담시스템을 도입한다.
경남도는 연말까지 창원시 등 13개 시·군에서 AI시스템이 초기 복지상담을 하는 사업을 시범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위기발굴시스템이 45종의 위기정보(단전, 단수, 체납 등)를 바탕으로 발굴한 위기 의심가구에 AI가 기초 조사를 하고 담당자에게 자동 전달하는 방식이다.
AI시스템은 위기 의심가구에 사전 안내 문자를 발송한 후 전화를 걸어 본인 확인을 하고 건강 경제·고용·돌봄·주거 상황 등을 파악해 기본 정보를 읍·면·동 담당자에게 자동 전달한다. 담당 공무원은 AI의 초기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상담이나 방문 등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지원한다.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위기가구 증가로 많은 지자체가 복지행정력 부족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담당자는 심층 상담과 방문지원·연계 등 업무에 집중해 효율적 복지서비스 제공이 기대된다. 경남을 포함해 전국 101개 지자체가 이 시스템을 연말까지 시범사업으로 운영한다.
경남도는 AI 초기상담시스템 외에 AI를 활용한 다양한 복지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신종우 경남도 복지여성국장은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행정인력의 한계로 충분한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위기발굴시스템이나 경남행복지킴이단 활동 등을 통해 위기가구 발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위기발굴시스템, 경남형 위기가구찾기 사업 등을 통해 9만8000여건의 위기가구를 발굴했으며 올해는 도 특화사업인 행복 지킴이단을 출범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