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8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일방통행, 고집불통,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리더십이 정치가 실종되게 만든 근본 원인”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제안한 여야정 협의체에 윤 대통령이 직접 참여할 것을 요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극단적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된 22대 국회의 첫 민주당 원내대표로 대여 투쟁의 선명성을 부각했지만 입법 등 실질적 성과는 미흡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다 합쳐도 16번인데 윤 대통령은 방송4법과 노란봉투법, 민생회복지원금법까지 거부하면 21번의 거부권 행사라는 기록을 세운다”고 밝혔다. 이어 “조금 있으면 이승만의 43번을 넘길 태세”라며 “정치를 복원하려면 대통령과 여당, 특히 대통령의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여야정 협의체에 윤 대통령이 직접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 대화만으로는 각종 민생 현안을 신속히 처리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자율 권한을 갖고 일할 가능성이 얼마나 있겠느냐. 여야 상설협의만으로는 책임과 자율 재량이 부족할 것”이라며 “국정운영에 절대적 책임과 권한을 가진 대통령이 함께해야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 앞서 여야 대표와 대통령이 만나는 ‘여야 영수회담’이 먼저 진행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어제(7일) 영수회담을 제안하고, 그다음 상설협의체를 만들자고 이야기했다”며 “대통령이 경제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이 있고 극복할 의지가 있다면 응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어 “영수회담이 진행되려면 일단 대통령 휴가가 끝나야 한다. 사실상 관련 의제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며 “다음 주말 민주당의 새로운 지도부가 선출되기 때문에 시간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는 취임 이후 채상병 특검법, 노란봉투법 등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국회 재표결에 부쳐졌다가 폐기된 법안을 줄줄이 당론으로 재발의해 통과시켰다. 리더십의 첫 시험대였던 국회 원 구성 협상을 통해선 법제사법·운영위원회 등 핵심 상임위원장 자리를 모두 챙겼다는 평가도 받았다. 이재명 전 대표가 8·18 전당대회 대표 선거 출마로 자리를 비운 동안 직무대행을 맡아 당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러나 한편에선 지나치게 강경 일변도로 나가면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야 대치, 그로 인한 정국 경색이 장기화하면서 국민적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며 “정치는 기브 앤드 테이크(주고받기)인데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만 해서는 얻을 수 있는 게 없다. 이제는 성과를 만들어내는 정치적 역량을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박장군 송경모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