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자동회의록’ 서비스는 지난 3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도입됐다.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 녹화·녹음된 회의 내용이 자동으로 정리돼 보고서 형태로 작성된다. 1시간 분량의 회의를 보고서로 만드는 데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가 개발한 이 서비스는 시행 100일 만에 3800건이나 사용됐다.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도도 눈에 띄게 높아졌다. 행안부가 지자체에 제공하는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활용 건수는 올해 상반기 4,36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사용 건수(3,005건)에 비해 45%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분석모델은 공공기관에서 만들어 낸 우수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표준화한 것이다. 지자체는 민원 내용을 분석해 주민 불편 사항을 빠르게 찾아내는 데 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정부 행정에 빅데이터 분석과 AI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업무 효율성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교통, 고용, 수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도 보인다. 지자체가 지난해 10월부터 활용하고 있는 AI 기반 교통량분석모델이 대표적이다. 그간 전국 단위 교통량 조사는 전국 도로 3900여 지점에서 육안 조사와 검지기 압력 조사, 두 가지 방식으로 이뤄져왔다. 비용 문제 뿐 아니라 정확도에도 한계가 있어 신뢰성 문제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지난해 4월부터 전국 도로에 설치된 CCTV의 영상을 AI 분석 학습에 활용해 교통량 자동조사 모델을 개발했다. DVD 4200장 분량의 영상에서 17만 대의 차량 이미지를 추출해냈고, AI는 이를 학습해 교통량 조사 기준인 12종의 차종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새로운 조사 방식은 인력 투입이 없어 별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주관이 개입될 여지도 없어 정확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국립과학수사연구소가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AI 기반 음성분석모델 ‘케이봄’(K-VoM)은 보이스피싱 수사 현장에서 제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해 10월 케이봄을 활용해 미제 사건으로 분류돼 있던 ‘해외 콜센터 조직 사건’을 해결했다. 17개 보이스피싱 사건의 연관성을 확인해 혐의자를 특정해 나갔으며, 콜센터 총책 등 51명을 검거할 수 있었다. 케이봄은 최근 OECD가 공개한 ‘전세계 정부혁신 우수사례’ 중 하나로도 꼽혔다. 행안부는 공공부문 내 챗GPT에 해당하는 ‘AI 행정비서’를 올해 5월부터 직원들을 대상으로 시범운영하고 있다. 일상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AI 서비스가 본격화되면 업무 방식에 혁신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초거대 AI 공통기반’ 등 정부내 AI를 도입하고, 데이터 분석 활성화를 위한 환경을 안정적으로 마련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부혁신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