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감독 최효원(아래 사진)씨는 약 3주 전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팔로워들의 가족사진을 인공지능(AI) 영상으로 제작하고 있다. 오래전 고인이 된 부모님의 생전 모습이 그립다는 한 팔로워의 글이 계기가 됐다. 마침 AI를 공부하고 있던 최씨는 자신이 도울 수 있겠다는 생각에 댓글을 남겼다. 이어 전달받은 팔로워의 가족사진 속 부모님 모습에 AI로 움직임을 넣었다. 사진 속에 멈춰 있던 부모님이 미소지으며 간단한 손짓을 하게 된 영상은 수많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최씨가 이 영상을 SNS에 올리자 자신이 첫 돌도 되기 전에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영상으로 보고 싶다는 사연, 27세에 교통사고로 숨진 딸과 행복했던 한때를 추억하고 싶다는 사연 등 간절한 이야기가 쇄도했다. 한 팔로워는 7년 전 갑상샘암으로 숨진 엄마의 사진을 보내며 “엄마가 가장 예뻤던 시절의 모습을 보고 싶다”고 요청했다.
다큐멘터리 제작사 ‘Studio Staaand’의 공동 대표를 맡고 있는 최씨는 따로 작업 시간을 내 영상화 작업에 몰두했다. 지난 2일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서 만난 최씨는 “가족을 그리워하는 간절한 마음을 외면할 수 없었다”면서 “지난 3주 동안 50여개의 사진을 영상으로 바꿔 무료로 선물했다”고 말했다.
최씨의 이런 작업은 20대 초반 사진작가로 처음 카메라를 잡았을 때부터 다큐멘터리 감독이 된 지금까지 ‘사람 이야기’에 집중해 온 그의 예술적 철학과 맞닿아 있다. 그렇게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최씨는 자신이 AI기술을 활용하게 된 것에 대해 “지금은 기술과 공존하며 예술적 역량을 극대화해야 하는 시대”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창작자의 관점이 작품에 투영돼야 수용자에게도 감동을 줄 수 있는데 AI가 이런 부분까지 대체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AI의 ‘도구성’을 강조했다. 그는 “명배우의 애드리브처럼 사람이 만들어 낸 현장에서 실수와 우연을 통해 얻게 되는 재미가 분명히 있다. 여기에 AI를 통한 새로운 시도가 더해지면서 더욱 좋은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최씨는 짧은 시간 내에 가족사진 영상화 작업 요청이 늘어나면서 일부 유료화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본업이 있는 데다 작업량이 많아지면 별도 비용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현재 사용 중인 AI 프로그램들은 매달 작업 가능한 횟수가 정해져 있어 들어온 요청을 소화하려면 추가로 비용을 들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더 책임감 있는 작업을 위해서지만, 가능한 선에서 무료 작업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