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영등포구 신길교회(이기용 목사)에서 만난 캐나다 원주민 사라 펠레티어(15)양은 한국에 부모와 두 명의 언니가 새로 생겼다며 밝게 웃었다. 사라는 “홈스테이를 하며 한국 집에서 처음 묵어봤는데 놀라운 사랑을 베풀어주셔서 진짜 내 집처럼 포근했다”고 말했다.
캐나다 서부의 서스캐처원주에서 온 사라를 비롯해 캐나다 원주민 보호구역에 거주하는 만 15~16세 청소년 7명이 선교여행차 지난달 27일 한국을 찾았다. 캐나다 원주민 다음세대를 대상으로 선교사역을 펼치는 AYC(Aboriginal Youth Community·원주민청소년공동체·대표 데보라 정 목사)가 주선했다. 이들은 7일 귀국할 때까지 신길교회가 마련해 준 숙소에 머물며 한국문화 체험과 유적지 방문, 청소년 수련회 등의 시간을 가졌다.
캐나다는 천혜의 자연을 품은 손에 꼽히는 선진국이지만 먼저 그곳에 터를 잡고 살아온 원주민이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원주민은 지배 계층이 된 백인들로부터 오랜 기간 탄압받았다. 과거 캐나다 정부는 원주민에게 정착지원금을 주고 살던 곳을 떠나 부족별로 모여 살게 했다. 사실상 고립정책이다. 술과 마약 등에도 눈뜨게 했다. 빈곤과 중독이 대대로 대물림되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2013년 AYC를 세우고 지금까지 선교여행을 이끌어 온 데보라 정(63) 목사는 “특히 원주민 다음세대는 술과 마약에 찌든 부모 밑에서 방치된 채 자살을 하나의 해방구로 여기곤 한다”고 전했다. 정 목사는 “이런 여행을 추진해온 것도 원주민의 근본인 다음세대가 바뀌지 않는 한 미래는 없다고 느꼈기 때문”이라며 “아이들에게 한국의 역사를 알려주며 꿈을 품게 해주고, 한국교회의 사랑과 헌신을 전해주며 하나님을 만나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고 밝혔다.
방한한 아이들은 과거 한국의 역사 속에서 자신들의 모습을 발견했고, 지금의 한국을 보며 자신들이 이룰 미래에 대한 꿈을 꿨다.
사라는 과거 중독과 성적 타락이 심각한 주변 환경으로 내면에 상처가 컸다. 사라는 “전쟁 등으로 민족에 희망이 없었지만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금의 번영을 이룬 한국 역사가 인상 깊다”며 “고국으로 돌아가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 여기는 친구들에게 내가 만난 사랑의 하나님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아이들과 함께 방한한 제이시 브래스(32)씨는 “서대문형무소를 방문해 좁은 감옥에 갇혀 고문당한 한국인들의 이야기를 듣고는 할머니 세대가 겪으셨던 고난이 겹쳐 떠올랐다”고 했다.
정 목사는 한국교회에 캐나다 원주민을 위한 지원과 관심을 요청했다. 단 재정이 아니라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과거 한국처럼 캐나다에도 복음의 일꾼이 많이 필요합니다. 꼭 전문 선교사가 아니더라도 순수한 믿음과 열정을 지닌 청년들이 원주민들과 함께 놀아주고 기도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