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올림픽 배드민턴 여자단식에서 금메달을 딴 안세영이 경기 직후 배드민턴협회와 협회의 대표팀 운영 시스템 전반을 비판하는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발언 내용의 사실관계와 협회의 책임 여부 등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겠지만 세계 랭킹 1위이자 성실한 노력파의 대명사로 꼽히는 선수의 얘기인 만큼 그 충격은 가볍지 않다. 이번 일을 계기로 배드민턴협회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 협회도 운영과 선수 선발 과정 등에 불합리한 점은 없는지 살펴보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안세영은 시상식 후 기자회견에서 무릎 부상을 당한 후 대표팀의 대처 과정에 대해 아쉬움을 피력한 뒤 “협회는 모든 것을 다 막고, 그러면서 자유라는 이름으로 방임한다”고 직격했다. 이후 진행된 언론 인터뷰에서 그는 “선수들을 체계적으로 잘 키워 배드민턴도 양궁처럼 어느 선수가 올림픽에 나가도 메달을 딸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선수 육성과 훈련 방식, 일방적인 의사결정 등에 대해 조목조목 지적했다. 선수나 선수 출신 지도자들이 해당 종목 협회의 운영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건 엄청난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선수나 지도자 활동을 할 때 불이익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전부터 여러 차례 현역 선수나 은퇴 선수 등이 해당 종목 협회의 운영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최근 축구협회의 감독 선임 과정에 대해 은퇴 선수들이 한목소리로 비판한 것이 대표적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6일 “파리올림픽이 끝나는 대로 안세영의 언론 인터뷰와 관련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개선 조치의 필요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른 종목에 대해서도 선수 관리를 위해 개선할 점이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라고 한다. 사격선수 출신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4개나 딴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도 “협회의 존재 이유는 선수를 지원하고 육성하는 것”이라며 “불합리한 일들이 개선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전근대적인 스포츠 행정이 여지껏 남아 있었다면 이번 일을 계기로 바로잡고 모든 종목에 합리적인 시스템이 안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