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출생아 수, 혼인 건수 등이 반등하고 공무원 시험에 다른 지역 응시자가 늘어나는 등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대구시가 그동안 추진한 인구위기 극복방안 효과가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5일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대구시다. 같은 기간 혼인 건수 증가율도 전국 1위다.
통계청의 ‘2024년 5월 인구동향’을 보면 올해 1~5월 대구시 출생아 수는 414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059명)보다 2% 증가해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출생아 수가 늘어난 곳은 대구와 인천, 서울뿐이다. 서울과 인천은 증가율이 각각 0.4, 0.7%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전국 출생아 수는 10만2029명에서 9만9070명으로 2.9% 감소했다.
대구의 혼인 건수도 같은 기간 409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420건)보다 19.6% 늘었다. 전국의 혼인 건수가 8.7% 증가한 것과 비교해 2배 이상 많다.
대구시는 타 시·도와 달리 결혼 적령기 인구가 증가 추세다. 대구에 거주 중인 30~34세 인구는 지난 2022년 14만1065명에서 지난해 14만6165명, 올해 지난 5월 기준 14만7530명으로 증가했다. 시는 일자리와 집값 안정, 지역 저출산 대책 등이 통했다고 평가했다.
대구의 주력산업을 ABB(AI·블록체인·빅데이터), 반도체, 로봇, UAM(도심항공교통), 헬스케어 등 미래 5대 신산업으로 개편하고 각종 기업들을 유치한 것이 변화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작은 결혼식 비용 지원 등 대구만의 출산 지원정책들도 한몫했다.
시가 실험적으로 추진한 공무원 임용시험 거주지 제한 폐지도 효과가 기대된다. 대구시는 서울을 제외한 16개 광역시·도 중 처음으로 올해 제3회 지방공무원 공개경쟁(경력경쟁 포함) 임용시험에서 거주지 제한을 폐지했다.
응시원서 접수결과 1331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1.7배 높은 102.4대 1을 기록했다. 이 중 지역 외 응시자는 379명으로 전체 응시자의 28.5%를 차지하고 있다. 대구시는 공무원 임용시험 거주지 제한 전면 폐지가 전국 우수 인력 확보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구시는 앞으로도 혁신을 위해 지역의 폐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개발할 방침이다. 또 사람이 모일 수 있는 환경 조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