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하마스 1인자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문제로 설전을 벌였다.
뉴욕타임스(NYT)는 3일(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가 지난 1일 바이든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하니예 암살과 휴전 접근 방식에 대한 미국의 우려에 반발했다”며 “네타냐후는 이스라엘이 휴전 협상의 장애물이라는 바이든의 주장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미 당국자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통화에서 하니예 암살이 휴전 협상 타결을 위한 노력을 망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휴전 협상 마지막 단계에서 암살이 진행돼 시기가 적절치 못했고,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작전을 벌인 탓에 자신이 막으려고 노력해온 확전을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네타냐후 총리는 하니예 암살로 며칠 동안 휴전 협상 진전이 멈추겠지만 궁극적으로는 하마스에 대한 압박이 커져 휴전 합의 타결을 앞당길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스라엘은 하니예 암살 작전을 미국에 사전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를 미리 알려 계획을 절충하거나 양보하고 싶어 하지 않았다고 이스라엘 당국자가 전했다.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바이든 대통령이 네타냐후 총리와의 통화에서 “나한테 헛소리 좀 그만해(stop bullshitting me)”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거친 표현으로 불만을 표출한 것이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과 네타냐후 총리가 휴전 접근 방식에서도 뚜렷한 간극을 보였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네타냐후 총리와의 회담에서 미국 주도로 만든 중재안을 들고 1~2주 안에 합의가 타결돼야 한다고 강하게 압박했다.
이후 미국과 이스라엘은 중재안 관련 이견을 좁히기 위한 회의를 진행했으나 이스라엘은 지난달 30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를 공습해 헤즈볼라 고위 지도자인 푸아드 슈크르를 제거했고, 이튿날 테헤란에서 하니예도 암살했다. NYT는 “이번 사태로 미 당국자들은 네타냐후가 휴전에 대해 진지한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