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2.5억t 물 새로 공급… 14곳 중 9곳은 지자체 건의

입력 2024-07-31 00:05

정부가 30일 발표한 기후대응댐 14곳에는 국가 차원에서 댐 건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5곳, 지방자치단체에서 건의한 9곳이 포함됐다. 지역별로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다. 지자체와 시민이 건의한 지역에선 크게 환영한 반면 정부가 지정한 곳에선 “지역 존립을 위협한다”며 강력 반대하고 나섰다.

환경부가 공개한 다목적댐 후보지 3곳에는 경기 연천 아미천(총저수용량 4500만㎥), 강원 양구 수입천(1억㎥), 충남 청양 지천(5900만㎥)이 선정됐다. 다목적댐은 용수 공급, 홍수 조절 등 2개 이상의 기능을 가진 대규모 댐이다.

용수전용댐 후보지 4곳은 강원 삼척 산기천(100만㎥)과 충북 단양 단양천(2600만㎥), 경북 청도 운문천(660만㎥), 전남 화순 동복천(3100만㎥)이다.

홍수조절용댐 후보지는 7곳이다. 경북 김천 감천(1600만㎥), 경북 예천 용두천(160만㎥), 경남 거제 고현천(80만㎥), 경남 의령 가례천(490만㎥), 울산 울주 회야강(2200만㎥), 전남 순천 옥천(230만㎥), 전남 강진 병영천(190만㎥)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 아미천과 산기천 등 9곳이 지자체가 건의한 지역이다. 다만 아미천은 다목적댐으로서 정부 시행 사업으로 추진된다. 산기천을 제외하면 지자체는 모두 홍수조절용댐을 신설(2건)하거나 리모델링(5건)하겠다고 신청했다.

정부 발표 후 각 지역의 온도차는 컸다. 총 3곳이 사업 대상에 포함된 전남도는 가뭄 등에 따른 물 부족 현상을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종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홍수·가뭄 대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부터 댐 건설 반영을 위해 네 차례 이상 환경부를 방문했던 경남도도 “하천 홍수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중소규모 댐 건설이 필요했다”며 “차질 없이 사업이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반복되는 집중호우 피해 방지를 위해 댐 건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해온 경기도 연천군과 지역 발전을 위해 댐 건설을 요구했던 강원도 삼척시도 환영 입장을 전했다.

반면 강원도 양구군은 난색을 표했다. 지역이 고립되고 희귀 동식물 서식지가 수몰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흥원 양구군수는 “양구군민들은 소양강댐 건설 이후 수없이 많은 고통을 인내하며 극복해 왔다”며 “댐 건설을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충북지역에서 후보로 선정된 단양군도 “자연경관 훼손과 수몰 주민 피해가 우려된다”며 “일방적 발표에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농민과 수몰지역 주민의 의견이 서로 다른 충남 청양군의 경우 주민 여론을 좀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박상은 박재구 김성준 김영균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