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각해지는 대졸 취업난… 노동·교육 개혁 속도 내길

입력 2024-07-24 00:31
국민일보DB

지난달 대기업 취업자 증가 수가 5년4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졸업한 지 1년이 지나서도 취업 준비를 하는 이들이 200만명을 돌파했고 그냥 쉬거나, 구직 활동도 하지 않은 대졸자가 사상 처음 400만명을 넘었다. 별개의 통계이지만 메시지는 하나로 요약된다. 괜찮은 일자리를 만드는 대기업이 채용을 꺼리자 취업 장수생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도저도 안돼 자포자기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졸자 취업난이 울리는 경고음을 정부와 기업 모두 허투루 들어선 안 된다.

지난달 직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는 311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00명 증가했다. 증가폭이 2019년 2월(-1만4000명) 이후 최저다. 지난 3월 5만3000명에서 4월 4만4000명, 5월 1만6000명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하는 추세여서 하반기엔 취업자 감소 전환마저 우려된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국내외 경제 불투명성이 커지면서 대기업들의 채용 여건이 악화된 탓이다. 게다가 대기업들이 공채보다 업무에 즉각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면서 대졸 취업 낭인이 양산되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20~35세 취업자의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이 14개월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긴 점, 삼수 이상 취준생이 220만3000명에 이르는 결과가 이를 보여준다.

구직자의 눈높이를 낮출 필요도 제기되지만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이 중소기업의 2배가 넘고 복지 여건도 격차가 큰데 중소기업 취업을 마냥 유도하는게 답은 아니다. 결국 노동·교육·규제 개혁이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대·중소기업의 불합리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해 젊은 층에 중소기업도 보람있는 일터라는 인식을 줘야 하는 게 급선무다.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고 청년 고용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기업이 원하는 능력의 인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학교육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도 정부의 몫이다. 기업 역시 신입 채용의 문호를 넓히는 게 저출생 시대 대비 인력 및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된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고학력 인재들이 졸업을 하고서도 방황한다면 경제 활력이나 사회 안정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