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을 위한 네 번째 도전에 나섰다. 1997년과 2007년, 2013년 세 차례 추진됐으나 모두 완주군민의 반대로 무산됐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 조만간 ‘완주·전주 통합 건의서’를 제출하겠다고 22일 밝혔다. 통합을 찬성하는 완주군민들이 최근 완주·전주 통합건의서를 전북도에 접수한데 따른 것이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고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되면 특례시 지정을 추진하겠다”며 “최대한 신속하게 특례시 지정을 추진하고 도지사 권한을 대폭 이양해 더 많은 자율성과 다양한 발전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특례시로 지정되면 광역시급 자치 권한과 재량권을 부여받고 행정 효율성이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건축물과 산지전용 등 허가 권한이 확대되며 관광특구, 택지개발지구의 직접 지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주민 서명에 의한 시·군 간 통합 건의는 전국 최초의 사례로, 행정구역 통합과 같은 중차대한 과제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선진 모델이 전북에서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전주·완주 통합은 더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변화와 도전은 때로는 두렵지만 변하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다”고 통합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지방시대위원회에 통합건의서가 제출되면 행정안전부는 완주군민들에게 통합 여부를 묻는 투표를 이르면 내년 3~5월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완주지역에서는 반대 목소리도 여전히 강하다. 완주군의회는 최근 통합을 반대하는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고 완주군 내 민간단체에서도 통합 반대 청원을 제출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도 “일부 민간단체의 일방적인 행정통합 추진으로 인해 2013년 주민투표 당시와 같은 주민 갈등이 크게 우려된다”며 “늘어나는 행정수요에 맞춰 시 승격을 추진하고, 전주시·익산시와의 기능적·경제적 상생사업 추진을 통해 전북도의 발전을 견인해 나가는데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