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은 HBM, 고용량은 CXL

입력 2024-07-19 08:23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양이 급증하자 메모리를 확장하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가 주목받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빠르게 연산하는 기술의 집약체라면, CXL은 대용량을 구현하는 기술로 요약된다. 아직 초기 단계인 CXL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158억 달러(약 22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18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CXL 기술 현황을 소개했다. CXL은 기존 D램과 공존하며 시스템 내 대역폭과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기존 서버에서 사용하던 D램은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CXL은 용량을 확장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

CXL은 두뇌 격인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반도체를 잇는 도로를 늘리는 기술로 비유된다. HBM이 도로를 빠르게 오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라면, CXL은 도로를 여러개로 확장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는 2021년 5월 업계 최초 CXL 기반 D램 제품을 개발했고, 올해 2분기에는 CXL 2.0을 지원하는 256GB(기가바이트) CMM-D 제품을 출시해 주요 고객사들과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CMM은 CXL 기술 기반의 제품명이다.

최장석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신사업기획팀장(상무·사진)은 “CXL이 2028년에는 메모리업계의 메인스트림(주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제품은 이미 준비가 돼 있다. 하반기부터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CXL 컨소시엄을 결성한 15개 이사회 회원사 중 하나로, 전 세계 메모리 업체 중 유일하게 이사회 일원으로 선정됐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