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병원이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사직 처리를 진행해 9월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위한 결원 규모를 확정키로 하면서 전공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전공의들은 사직 수리 절차를 밟은 수련병원을 비난하면서 민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17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빅5’ 병원은 이날 사직이나 복귀 여부를 응답하지 않은 전공의에게 사직 처리를 통보했다. 서울대병원은 전날 ‘사직에 관한 합의서’를 보내면서 회신하지 않을 경우 사직 처리하겠다고 했지만 이날까지 응답한 전공의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서울병원 역시 미응답 전공의에게 일괄 사직 처리를 안내했다. 수련병원 대부분은 이날까지 전공의 사직에 따른 결원 규모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수련병원에 전공의 복귀·사직 의사를 확인하라며 제시한 시한인 지난 15일을 기점으로 레지던트 사직률도 크게 올랐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사직한 레지던트는 전국 수련병원 211곳 1만506명 중 1302명이었다. 지난 15일 75명에서 급증한 것이다. 빅5 병원 레지던트의 경우 전날 기준 1922명 중 732명(38.1%)이 사직했다.
전공의 반발은 거세졌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SNS를 통해 “퇴직금 지급 지연, 다른 기관 취업 방해 등 전공의 노동권을 침해한 병원장에 대해 형사 고발, 민사 소송 등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또 “불합리한 정책과 위헌적 행정명령에도 불구하고 거대 권력에 굴복한 병원장들에게 유감의 말씀을 전한다”며 “전공의를 병원의 소모품으로 치부하며 노동력을 착취하려는 병원장들 행태가 개탄스럽다”고 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