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과정에서 ‘1강’인 한동훈 당대표 후보를 겨냥한 의혹 공세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다. 하나의 이슈가 효력이 떨어지거나 역풍 조짐이 보이면 다른 의혹이 새롭게 전당대회 판에 던져지는 양상이다. 여권 내에서도 전당대회가 ‘자폭 전대’ ‘분당 대회’로 흐르면 결국 웃는 건 야당뿐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당대회 초반 ‘배신의 정치’를 꺼내 한 후보와 대립각을 세운 원희룡 후보는 이후 한 후보의 ‘김건희 여사 문자 무시’ 논란을 소재로 난타전을 벌였다. 원 후보가 이른바 ‘3대 의혹’(댓글팀 운영·비례대표 사천·김경율 회계사 금감원장 추천 의혹)을 꺼내든 뒤로는 양측의 갈등이 ‘정계 은퇴’까지 내건 사생결단으로 치닫고 있다.
한 후보는 반복되는 의혹 제기에 “오물 뿌리고 도망가는 구태정치”라고 비판하지만, 원 후보 측은 “후보 검증의 일환”이라는 입장이다.
원 후보는 16일에는 ‘드루킹 사건’을 언급하며 한 후보가 법무부 장관 시절 여론 조성을 위한 댓글팀을 운영했다는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그는 TV조선 유튜브에 출연해 “한 후보가 대표로 당선되더라도 이미 물꼬가 터졌기 때문에 (댓글팀 의혹은) 수사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매크로) 프로그램을 돌렸냐, 안 돌렸냐의 차이만 있지 드루킹과 똑같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 후보는 이어 “민주당에서 정치적 특검으로 걸어 당을 분열시키고 당정 충돌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몰고 간다면 보수 전체의 블랙홀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채널A 유튜브에서 댓글팀 의혹과 관련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 저는 그렇게 살아오지 않았다”며 “아무런 근거 없이 그냥 ‘댓글이 많다. 응원하는 식의 메시지가 많을 리가 없다’는 식의 자기들 기준으로 저렇게 말하는 건 시민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원 후보가 집중 공략하는 댓글팀 의혹은 김 여사의 문자 무시 논란에서 파생됐다. 전문이 공개된 김 여사의 문자 중 “제가 댓글팀을 활용해 위원장님과 주변에 대한 비방을 시킨다는 얘기를 들었다”는 내용이 문제가 됐다. 친윤(친윤석열)계인 장예찬 전 최고위원은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한 후보의 법무부 장관 시절 여론조성팀이 운영됐으며 자신도 해당 팀에 요청을 받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이날 열린 국민의힘 3차 TV토론회에서는 한 후보가 제시한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원 후보가 한 후보를 향해 ‘제3자 특검안은 받아야 하냐’라고 묻자, 한 후보는 “민심을 감안해 그 정도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민께 ‘저희가 보훈과 안보 이슈에서 소극적이고 도망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드려야 한다”고 답했다.
한 후보는 ‘조국혁신당이 추진하는 한동훈 특검법은 받을 것인가’를 묻는 원 후보 질의에는 “그냥 사법적으로 처벌을 앞둔 사람(조국 대표)의 개인적 한풀이라고 본다”고 일축했다.
야당은 국민의힘 당권 경쟁 과정에서 불거진 자중지란을 파고드는 모습이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불법 댓글팀이 운영된 것이 사실이라면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는 최악의 국정농단이자 국기문란, 중대범죄”라며 “만약 수사기관의 의지가 없다면 특검으로라도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공세를 폈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