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한 검사 4명의 탄핵소추안 가운데 1명에 대해 기권표를 던졌던 곽상언 의원이 10일 원내부대표직에서 자진사퇴했다.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곽 의원이 물의를 빚은 데 대해 송구하게 생각하며 원내부대표단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원내지도부는 당론의 엄중함과 사안의 심각성을 충분히 주지시켰다”며 “이 과정에서 곽 의원이 당론 채택 여부를 확실히 인지하지 못했을 뿐 검찰개혁에 대한 의지와 당에 대한 충정이 확고하고 변함없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론을 벗어난 행위에 대해 본인 스스로 사퇴한 점 등을 감안해 (당내 징계 없이) 주의 조치 했다”고 덧붙였다.
곽 의원은 지난 2일 본회의에서 진행된 ‘박상용 검사 탄핵소추안의 법사위 회부’ 표결에 기권표를 던졌다. 민주당은 박 검사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 송금 수사 과정에서 허위 진술을 하도록 회유한 의혹이 있고 2019년 음주 후 공용물을 손상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곽 의원은 기권 후 페이스북에 “제안 설명만 듣고 탄핵 찬반을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자 일부 강성 당원들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사위인 곽 의원에게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내며 징계나 탈당을 요구했다. 이에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전날 곽 의원을 만나 자진사퇴로 마무리하는 것으로 조율했다고 한다.
당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법조인 출신인 곽 의원도 결국 강성 당원들의 등쌀에 밀려 소신을 꺾을 수밖에 없었던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5월 22대 국회 당선인 총회에서 “당론으로 정한 법안을 개인적 이유로 반대해 추진이 멈춰버리는 사례를 몇 차례 봤다. 정말 옳지 않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당대표 출마를 선언하는 자리에서도 검사 4인에 대한 탄핵 추진의 당위성을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은 11일 의원총회를 열고 감사원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감사원법 개정안, 노조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이른바 ‘노란봉투법’ 등 8개 법안을 추가로 당론 채택할 방침이다.
송경모 이동환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