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사업에 빨간 불이 켜졌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1단계(2020~2024년) ‘AI 집적단지 조성’에 이은 2단계(2025~2029년) ‘AI 실증 밸리 확산사업’에 내년 시작된다. 시는 국비 3965억원, 지방비 1385억원, 민자 650억원 등 2단계 총사업비 6000억원 확보에 역량을 쏟고 있다.
하지만 2단계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신청 시기를 놓치면서 가장 비중이 높은 국비 확보가 불투명해졌다. 대선 공약인 데다 AI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예타 면제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이유로 예타 신청을 하지 않고 여유를 부렸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달 뒤늦게 예타 신청을 했으나 향후 일정을 감안할 때 원활한 예산확보가 어려운 처지다.
이뿐 아니다. 올 초 공석이 된 광주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사업단) 신규 단장 선임을 6개월 가까이 하지 않고 있다. 전임 단장은 AI사업단을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부설 기구가 아닌 과기부 산하 독립 법인으로 승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시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단으로 복귀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와 인연을 맺은 AI 기업들이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며 속속 떠나는 점도 문제다. 업무 협약을 맺은 199곳 가운데 115곳이 광주로 본사를 옮기거나 연구소 문을 열었지만 벌써 10여 곳이 다시 이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 관계자는 “AI 관련 신규 재정사업을 발굴해 예산을 확보하면서 기업들에 대한 다각적 지원을 병행할 것”이라며 “AI 생태계를 뿌리내리기 위한 2단계 사업에 온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