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 및 전자공학부 정명수(앞줄 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가속기용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에 맞설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라는 평가다.
연구팀은 메모리 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기술을 활성화해 고용량 GPU 장치의 메모리 읽기·쓰기 성능을 최적화했다. CXL은 두뇌 격인 중앙처리장치(CPU)와 가속기, D램, 저장장치 등 직간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다. 기존 GPU 여러 대를 연결하는 메모리 확장 방식은 GPU의 높은 가격으로 비용이 급격히 늘어나지만, CXL 기술을 활용하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인 ‘파네시아’의 CXL 컨트롤러와 CXL-GPU 프로토타입을 활용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파네시아의 기술을 활용해 기존 GPU끼리 연결하는 방식의 메모리 확장 기술보다 2.36배 빠르게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 정 교수는 “CXL-GPU의 시장의 개화 시기를 앞당겨 대규모 AI 서비스를 운영하는 빅테크 기업의 메모리 확장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