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행복한 이민 환경 조성… ‘외국인력 10만 플러스’ 추진

입력 2024-07-01 06:03
경남형 이민환경 조성.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외국인력에 대한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과 외국인 근로자 정착지원을 위해 ‘경남 외국인력 10만 플러스+’ 도입을 추진한다.

경남도는 ‘외국인과 함께 살 수 있는 환경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유학생·산업인력 등 글로벌 해외 우수인력 10만명 유치를 목표로 수급부터 정착까지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한다고 30일 밝혔다.

도는 먼저 국가별 해외거점기관 등을 통해 인력을 유치하고, 입국 후에는 외국인 근로자 지원센터를 통해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글로벌 해외 우수인력으로 경제재도약’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우수 외국인력 유치와 취업으로 필수 기술력을 가진 유학생에 대한 현행 비자제도를 개선해 경남형 비자유형 설계 반영을 중앙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주항공·방산·반도체 등 해외 석박사 직도입, 공공형 계절근로, 외국인력 요양보호사 육성사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 적응과 도내 장기정착 유도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 맞춤형 교육을 진행한다. 다양한 센터를 활용해 한국어 교육 지원을 확대하게 된다. 외국인 근로자의 숙련도 향상을 위해 한국폴리텍대학과 협업해 용접, 도장 등 직무교육을 하고, 최근 잇따라 발생한 산업현장의 안전사고에 대응해 외국인근로자 안전보건교육도 강화한다.

올해 3월까지 경남도에 등록한 외국인 9만3606명 중 단순노무 3만9191명 등에 대해 숙련기능인력 비자전환 추천과 지역특화형 비자 도지사 추천제 운영 등 단순노무 비자 제도도 개선한다. 초기 입국자의 정착지원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 공공기숙사’를 건립하고, 계절근로자 기숙사 확대, 농어촌 빈집 알선 등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외국인 근로자, 계절근로자, 유학생, 외국인 주민 등 부서별로 분산된 외국인 관련 업무를 하나로 통합해 이민정책의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민정책 컨트롤타워에서는 도내 장기 거주 외국인 근로자 대상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운영해 한국문화 등 정보 제공과 숙련기능인력 비자 쿼터 확보 등 경남형 이민환경 조성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외국인 근로자가 지역에 유입되고 도내에서 도민과 동행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원스톱 지원체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수요에 맞는 인력 유입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10만 외국인과 함께 여는 행복시대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