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지역교회 손잡고 지방소멸 막는다

입력 2024-06-27 03:01
경북 영주의 관사골 마을에서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된 가로정비로 한결 깨끗해진 도로. 영주시 제공

경기도 안성의 옥천동, 창전동 등엔 수년 전만 해도 낡은 건축물이 오밀조밀 밀집해 있었다. 재해가 발생하면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소방도로는커녕 상하수도 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도시가스는 전혀 보급되지 않았다.

26일 안성시에 따르면 이들 지역엔 현재 도시재생사업이 한창이다. 5년 넘게 생활여건 개선사업이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마을 곳곳에 옹벽과 축대 난간을 보강했고 소방차 진입 등이 가능하도록 마을 도로 폭도 넓혔다. 마을 전체 상하수도 시설도 정비했다. 지역주민을 위한 편의시설이 들어서는가 하면 마을 공터에 주차장을 만들었고 텃밭, 평상쉼터, 지압로 등도 들어섰다.

이 같은 사업 시행은 쇠퇴 지역을 환경적으로 개선하는 도시재생 특별법(2조1항)에 따른 것인데, 특별한 점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고 지역 교계가 협력한다는 것이다. 인구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지역 소멸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자체와 지역교계가 지역살리기의 주체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 조사(2023)에 따르면 228개 전국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은 절반 이상이다.


이날 미래목회포럼이 개최한 도시재생포럼에서는 관련 사례가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경북 영주의 일명 ‘곱빼기 마을’ 등은 과거 동네 전체 건물의 80% 이상이 낡은 건물이었다.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마을에서 오래 방치된 빈집을 없앴고 가스집단공급,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을 확충했다. 이 지역에서도 현지 교회 등 교계가 자체 사업 등을 시행하면서 도시재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신동필 영주시기독교연합회장은 “저출산 문제가 지역 소멸을 반영하는 가장 큰 문제라고 볼 수 있다”면서 “주중에 교회를 개방한 뒤 돌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음악회 등 문화예술 프로그램도 교회가 주도해 청년들이 지역에 발을 붙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성지역 도시재생사업에 동참한 송용현 안성중앙교회 목사는 “쇠퇴하는 지역을 살려야겠다는 일념으로 지자체의 도시재생사업에 적극 참여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지자체가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맡았다면 지역교계는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을 담당했다”며 “교계에서 인력, 프로그램 제안, 관련 물품 지원 등을 시행해 사업 활성화에 일조했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영남권 인구는 2052년까지 286만명(22.5%) 호남권은 93만명(16.3%) 수도권은 138만명(5.3%) 중부권은 24만명(3.3%)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과 대구 등 대다수 도시들은 마이너스 인구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 감소는 지역 소멸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여겨진다.

최경식 기자 k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