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5개 기초의회가 후반기 의장단 선출을 놓고 이전투구 양상이다. 민주주의와 선거 4대 원칙인 비밀·직접·보통·평등 투표를 무시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민주당이 절대다수인 상황에서 비민주적 추대와 물밑 담합 등이 이어져 능력이 뛰어난 의원들이 배제되고 의회 권력이 특정세력에 집중되는 부작용 등이 우려되고 있다.
5개 기초의회 중 가장 큰 북구의회의 경우 후반기 의장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북구갑 지역위원회 사무국장 명의로 지난 23일 소속 구의원들에게 ‘의장 추대’ 통보문자가 발송됐다. 나이가 제일 많고 다선인 최모 의원을 의장으로 추대한다는 내용이었다.
대의원 대회에서 의장 선출 방식 등에 원만히 합의하지 못해 발생한 일이다. 지역위는 ”다수 구의원이 지역위 의견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혀 발송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전체 구의원 12명 중 10명이 민주당 소속인 서구의회는 초선 의원 5명 중 3명이 지역위 의장선거 지침을 묵살하고 후보를 돌발 추대하는 등 지역 내 갈등을 고스란히 드러났다.
남구의회는 ‘순번제’를 둘러싼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7·8대 의회 의장을 동남갑 동남을 지역구에서 번갈아 선출한 전례에 따라 이번에는 동남을에서 의장을 맡을 차례였다. 그러나 동남갑 출신 6명이 느닷없이 반기를 들면서 의장 선거가 꼬이고 있다. 이들은 “순번에 연연하지 말고 자율적으로 의장선출을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26일 “구의회가 본연의 주민 대변자 역할을 다하려면 첫 단추부터 잘 꿰어야 한다”며 “진정한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 차원에서 의장 선출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