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전남도, 국민일보가 지방소멸 위기 극복 방안 마련을 위해 24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한 ‘2024 동서미래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초광역권 연계가 지방위기 상황 속에서 거대한 흐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민일보가 주최하고 경북도와 전남도가 후원한 이번 포럼에는 이재형 시도지사협의회 정책국장, 신유호 단국대 교수, 나중규 경북연구원 본부장, 최우람 전남연구원 연구위원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기조발제자로 나선 마강래 중앙대 교수는 ‘연계협력이 가져오는 지역의 힘’을 주제로 발표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산업 구조 변화와 혁신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초광역 연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 교수는 “신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기반 거점 구축이 필요하다”며 “메가시티 구축, 행정구역 통합 등의 대도시권 육성 노력에 부응한 삶터, 놀터, 일터, 배움터를 연결하는 융복합 공간 플랫폼을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지역 여건에 적합한 중소도시 연계, 중추도시를 거점으로 한 인근 낙후지역·농산어촌 지역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며 “도시 행정서비스의 효율성 제고와 경제적 활력을 증진하기 위해 거점 중심 압축 개발을 통한 도심 경쟁력 강화와 주변 지역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연구위원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고 청년층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와 취업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지역의 인구 유출을 막고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호남의 협력은 현 정부에서 구상하는 4+3초광역권 특화발전 전략 수립을 뛰어넘는 권역 간 연계 협력을 통한 거대 초광역권 육성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 본부장은 지역 발전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방안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포괄적인 계획 프로세스, 지역사회 주도 이니셔티브, 교육 프로그램, 투명한 의사소통, 역량 강화, 인센티브와 기술 활용을 포함하는 다각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며 “요구에 맞는 고품질 교육기관과 일자리 기회를 만드는 것이 필수인데 글로컬 대학, 라이즈(RISE) 사업 등을 통해 지역 대학과 기업 간 파트너십을 구축해 학생들이 지역 취업시장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나 본부장은 글로벌 혁신기업 및 중견기업 유치 방안에 대해 “기업을 경북이나 전남 지역으로 유인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은 이들 기업들이 가장 원하는 부분을 찾아 채워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신 교수는 “지역 주도형 균형발전을 위한 재원 확충, 자율성 강화를 위한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규모를 확대하고 틀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다”며 “균특회계 규모 확대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중앙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지역 간 격차 해소와 지역 경쟁력 강화에 대해 신 교수는 “지방 대도시권 육성과 중소도시 연계가 필수적이며 교통망 확충과 산업단지 조성 등 인프라 투자가 꼭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국장은 “도시 행정서비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축 개발과 거점 생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도심 경쟁력을 키우고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 도시 기능을 집적시키기 위한 인센티브를 설계하고 거점 생활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와 전남도는 이번 동서미래포럼을 통해 균형발전과 연계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향후 구체적인 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가기로 약속했다.
김재산 김영균 최일영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