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가전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제품을 잇따라 선보이며 ‘AI 가전=삼성’ 공식을 공고히 하고 있다. 최근 출시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가 대표적이다. AI 가전에 반도체 소자를 넣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제품으로 소비자의 전기 요금 부담을 줄였다.
위훈 생활가전(DA) 사업부 선행개발팀장은 20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의 특징과 핵심 기술, 구성 원리 등을 소개했다. 위 팀장은 “이 제품은 자동차에 비유하면 두 개의 엔진으로 독립 냉장을 하는 것”이라며 “에너지 소비효율이 국내 최고 1등급보다 최대 30% 개선돼 900ℓ 냉장고 기준으로 전기요금을 1년에 약 2만8000원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의 핵심은 반도체 소자인 펠티어(peltier)를 활용한 냉각 방식이다. 냉각할 때 컴프레서를 단일 동력원으로 사용하던 기존 냉장고의 한계를 극복했다. 평상시에는 컴프레서만 작동되지만, 사용량이 급증하면 컴프레서와 펠티어 소자가 함께 구동된다. 이런 병용 구조를 가정용 냉장고에 적용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AI를 이용한 기능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AI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AI가 냉각이 필요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한 뒤 최적의 운전량을 조절한다. 냉장고 문을 일시적으로 여닫는 상황에서는 컴프레서의 운전 속도를 올리지 않아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일정 주기마다 일률적으로 이뤄지던 성에 제거 작업도 필요할 때만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