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9일 북한과 러시아가 ‘유사시 상호 원조’ 조항을 담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뒤에도 공식적인 입장이나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표면적으로는 북·러가 ‘자동 군사개입’에 근접하는 약속을 했다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정치적 수사 성격이 짙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북·러가 어느 수준으로 협력을 극대화해 나가는지 지켜본 뒤 평가하겠다는 뜻도 담겼다.
미국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북한의 대러시아 무기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고 경고했다.
블링컨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당량의 탄약과 무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또 “러시아가 침략 전쟁을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수급할 수 있는 국가들과의 관계를 필사적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어떤 나라도 푸틴의 침략 전쟁을 돕는 플랫폼을 제공해선 안 된다”며 “북한의 무기 제공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잔인하게 전쟁을 할 수 있게 도왔다”고 우려했다.
중국은 ‘북·러 양자 간 왕래’라며 추가적 언급에는 선을 그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조·러가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이 필요하고,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국가의 양자 일정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이 우크라이나전을 고리로 북·러가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불편해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택현 김철오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