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적대국 목록에 中 추가… ‘러시아 지원·과잉생산’ 맹공

입력 2024-06-17 01:20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15일(현지시간) 풀리아주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한목소리로 중국을 향해 강력한 경고를 쏟아냈다. 중국이 러시아를 후방 지원해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한몫하고 있으며, 불공정한 무역으로 각국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G7 정상들은 15일(현지시간) 정상회의 폐막 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 방위산업 기지에 대한 중국의 지속적인 지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불법적인 전쟁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며 “중국이 러시아 국방에 투입되는 무기 부품·장비를 포함한 이중 용도 물자의 이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은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무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G7 정상은 중국의 불공정한 경제정책도 지적했다. 이들은 “중국의 지속적인 산업 표적화와 비시장 정책이 점점 더 많은 부문에서 시장 왜곡, 과잉 생산으로 이어져 우리 노동자와 산업, 안보를 약화시킨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불공정 관행으로부터 우리 노동자와 기업을 보호하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며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12일 중국의 과도한 보조금을 이유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대폭 상향을 잠정 결정한 바 있다.

G7 정상은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양안 문제와 관련해 “무력이나 강압에 의한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를 강력히 반대한다”면서 “남중국해에서 중국 해안경비대와 해상 민병대의 위험한 사용과 각국의 공해 항행의 자유에 대한 반복적인 방해에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는 “러시아뿐 아니라 중국이 G7의 적대국 목록에 합류했다. 공동성명은 중국을 28번 언급하는데 거의 모든 언급이 중국을 ‘악의적 세력’으로 묘사하고 있다”며 “불과 몇 년 전 중국에 대한 묘사와 극명하게 대비된다”고 평가했다.

G7 정상은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협력도 비판했다. 이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조달,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러시아의 이러한 미사일 사용 등 북·러 군사협력 증가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리 결의에 어긋나는 핵 또는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며 양국에 안보리 결의 준수를 촉구했다.

14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프란치스코 교황이 양자회담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G7 정상은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해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지구 3단계 휴전안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재확인했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15일 정상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G7 정상들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파리올림픽 휴전 제안을 만장일치로 지지했다고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