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반응을 인지하고 이해하는 능력, 협동력과 협상력 같은 사회적 능력을 갖춘 이들이 국내 노동 시장에서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자동화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사회적 능력이 필요한 일자리의 비중이 커지고, 그에 따른 보상도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은 10일 ‘노동시장에서의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22년 협동력 등 사회적 능력이 집중된 일자리 비중이 49%에서 56%로 7%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인지적 능력에 해당하는 수학적 능력이 집중된 일자리 비중은 50%에서 55%로 5% 포인트 늘었다. 상대적으로 사회적 능력을 요구하는 일자리 비중이 더 많이 증가한 것이다.
해당 분석은 지역별고용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대학교수 및 강사, 간호사, 전문서비스 관리자 등을 높은 사회적 능력과 높은 수학 능력이 필요한 직업으로 분류했다. 법률 전문가,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 경찰·소방 종사자 등은 높은 사회적 능력과 낮은 수학적 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에 포함됐다.
임금(보상)에서도 사회적 능력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2007~2015년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은 경우 임금은 전체 평균보다 4.4% 높았는데, 2016~2020년에는 5.9% 높아 격차가 커졌다. 이에 비해 인지적 능력이 1단위 높은 경우 임금은 2007~2015년 10.9% 높았으나 2016~2020년에는 9.3% 높아 격차가 줄었다. 이는 2007년 당시 15~29세인 1만여명의 청년 응답자를 2020년까지 추적 조사한 청년패널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사회적 능력은 교우 관계, 친한 친구 수, 의사표현 능력 등으로 측정했다. 인지적 능력은 수학능력시험 성적을 5단계로 분류해 측정했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인간이 비교우위를 가지는 항목에서 비교우위를 기르는 것이 향후 많은 일자리 기회, 보상을 받는 데 유리하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