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석유공사, 12월부터 석유·가스 유망 구조 7곳 중 1곳 선정 시추 계획

입력 2024-06-11 01:50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정부 측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인 ‘대왕고래’의 탐사 성공률(20%) 산출 근거를 요구하는 야당에 대해 “의혹 해소를 위해 22대 국회가 열리면 자료를 공유할 적절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1회 시추에 1000억원 이상 예산이 필요한 상황에서 거대 야당을 상대로 본격적인 설득 작업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민적) 의혹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차관은 물리탐사 자료 등의 대외 공개 요구에 대해 “궁극적으로 외부 공개는 어렵다. 동해 지형도가 모두 담겨있는데, 이를 다 공개하면 안보상으로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문적 자료이지만 적절한 방법으로 국회에 공유할 방법을 찾겠다”고 했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는 오는 12월부터 7개 석유·가스 유망 구조(매장 가능성이 큰 지역) 중 1곳을 선정해 시추에 나설 계획이다. 여기에 필요한 1000억원 이상의 예산 확보를 위해선 다수당인 민주당 협조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정부가 확보한 시추 예산은 착수비 정도로, 5회 이상 시추에만 5000억원 이상이 소요된다. 민주당 측은 “제대로 된 근거 자료를 제시하지 않는다면 예산 편성은 없다”는 입장이다.

최 차관은 미국 심해탐사 기업 ‘액트지오’가 지난해 3월까지 1650달러(약 228만원)의 법인 영업세를 체납한 사실에 대해 “용역 계약 당시 체납 사실을 몰랐다. 정부를 대표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신뢰성을 문제 삼는 것은 본질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달 중순부터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개발전략회의를 열고 동해 일대의 광구 설정을 다시 설정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8광구와 6-1북부·중동부 등 3개로 구성한 광구를 새롭게 발견된 대왕고래 등 7개 유망 구조 중심으로 재구성한다는 취지다. 신규 광구별로 해외 메이저 기업 등의 투자를 유치해 재정 부담도 낮춘다는 방침이다. 최 차관은 “많은 해외 기업이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투자 조건과 규모가 국익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므로 리스크와 수익을 분석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첫 시추공을 뚫을 해역을 다음 달까지 결정할 예정이다. 최 차관은 “액트지오의 자문을 받아 한국석유공사가 시추 위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며 “기존 용역 계약 범위에 들어가 있어 액트지오에 추가 비용은 들어가지 않는다”고 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