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전당대회 날짜가 오는 7월 25일로 잠정 결정된 이후 ‘원외 세력화’도 본격화되고 있다. 원외 인사들은 전당대회 룰 개정, 당 지도체제 전환 등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과시하는 중이다. 이들의 ‘표심’은 차기 지도부 선발에도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원외 3040세대 인사로 구성된 ‘첫목회’는 6일 국회에서 네 번째 모임을 열었다. 오전에는 윤희숙 전 의원을 초청해 연금개혁을 주제로 강의를 들었고, 오후에는 곽관용 경기 남양주을 당협위원장의 정치개혁 관련 발제 후 자유토론을 했다.
첫목회 간사인 이재영 서울 강동을 당협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전당대회 당심과 민심 비율) 5대 5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당이 혁신적이어야 하고 무게중심을 정부에서 당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집단지도체제로 꼭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단일지도체제와 집단지도체제를 혼합한 ‘절충형 복수지도체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는 이어 “집단지도체제는 특정인을 위한 것이 아닌데도 논의가 오염되고 있는 것 같다”며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위한 것이냐, 아니냐’ 이런 식으로 전당대회 룰 변경 논의가 이뤄지는 건 매우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김선동 서울시당 위원장 등 수도권 전직 의원·지방자치단체장 30여명이 주축이 된 ‘성찰과각오’도 이날 비공개 모임을 가졌다. 성찰과각오 소속 한 원외 당협위원장은 통화에서 “오는 13일 정기 회의를 앞두고 우리 모임을 체계적으로 끌고 가기 위한 사전회의였다”고 설명했다.
당 안팎에서는 원외 인사들이 전당대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한다. 이번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하면서 원외 인사들의 규모가 더 늘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당에서도 원외 움직임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총선을 거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들이 지닌 지역 조직력이 강해 세력화가 잘 이뤄지는 경우 당 최대 구심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이 자체 후보를 내세울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성찰과각오 지도부 관계자는 “원외에서 전당대회에 후보를 낼 것이냐, 누구를 낼 것이냐 하는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라며 “이를 위해 원외 협의체 구성도 생각해야 한다”고 전했다.
여권 관계자는 “첫목회가 사실상 친한(친한동훈)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이에 반발하는 원외 인사들은 성찰과각오나 또 다른 집단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민지 이강민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