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조감도) 개발계획안이 확정되며 서울시가 추진 중인 용산 철도 정비창 부지 개발사업에 속도가 붙게 됐다. 총사업비 51조1000억원, 규모 약 15만평(49만5000㎡)에 달하는 대규모 도심 개발사업의 추진 발판이 마련된 것으로 시는 이르면 내년 착공에 돌입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전날 8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을 수정 가결했다고 6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2월 용산 정비창 부지에 100층 안팎의 랜드마크를 건설해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계획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최종 확정된 것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업무복합·업무지원 3개 존으로 나눠 개발한다. 기존 계획에서는 국제업무존이 3종 일반주거지역이었지만 전날 회의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됐다. 또 국제업무존 획지를 분양받은 민간이 혁신적인 디자인을 제안하면 도시혁신구역이나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해 최대용적률 1700%까지 고밀 개발할 수 있도록 시 차원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획지는 국내외 개발사례 등을 고려해 총 20개로 계획했다. 글로벌 기업이나 외국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획지 규모는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시는 수정 가결된 지구단위계획과 특별계획구역, 용도지역 변경내용 등을 반영해 오는 7월 국제업무지구의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고시할 계획이다. 현재 용도와 밀도계획, 공공·문화시설 복합화 등 구체적인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 있다. 신재생 에너지 도입과 랜드마크 조성, 물길 계획 등도 시행자와 협의해 구체적인 기획안을 내놓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 안에 실시계획인가를 내고 기반시설 착공에 돌입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시는 사업 시행으로 교통량이 늘어날 상황에 대비해 광역교통개선 대책도 마련했다. 사업지 주변과 외곽의 도로를 개선하고 대중교통 기능을 높일 예정이다. 이 대책은 국토교통부 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10년 이상 방치됐던 용산 정비창 부지 개발에 대한 불확실성은 제거됐다”며 “향후 개발사업이 더욱 탄력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