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현 이재명 대표 체제의 운영 방식에 대한 우려와 견제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당내 의사결정 내용과 절차가 이 대표 연임과 대권 도전을 위한 방향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민주당은 3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구성 권한 등을 최고위원회의에 위임하는 방안을 의결했다. 전준위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작성하는 권한을 가진 기구다. 이에 이 대표가 ‘대선 1년 전 당대표 사퇴 예외조항’ 등 당헌·당규 개정을 염두에 두고 당무위 권한을 친명(친이재명)계 위주로 구성된 최고위에 위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표 본인의 연임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에 대비해 전준위도 입맛대로 구성하려 하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다만 지도부 소속 의원은 “최고위 위임은 통상적인 절차”라고 주장했다.
이날 이 대표가 5선 의원들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도 당헌·당규 개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분출했다. 특히 국회의장 후보자 경선에 권리당원 투표 20%를 반영하는 방안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고 한다. 간담회에 참석한 의원은 “국회의장은 당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까지 섬기는 게 덕목이고, 당 차원에서 대선을 생각할 때 지지층만큼 중도층을 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말이 나왔다”고 말했다.
일부 참석자는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준위를 거쳐 개정해도 될 당헌·당규 개정을 당헌·당규 개정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성급하게 추진한 게 문제라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대표는 국회의장 후보 경선 등에서 당원들의 불만이 커 무시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이날 고위전략회의에서 5일 국회의원·전국지역위원장 연석회의를 열어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더 수렴하기로 했다. 이후 바로 개정 절차를 밟을지, 전준위에서 더 논의할지는 추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전준위 구성도 최고위가 하기로 한 상황에서 결론이 이미 정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동환 송경모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