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에 훈풍이 불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중대재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호실적에 따른 작업량 증가가 역설적으로 사고 발생 위험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노동 현장에서의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조선소에서 폭발·깔림·끼임·추락 등 중대재해사고로 사망한 노동자는 지난달까지 13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전국 조선소에서 3명이 사고로 사망한 것과 비교해 4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조선업은 호황기를 맞아 실적도 완연한 회복세다. 국내 조선 ‘빅3’(HD한국조선해양·삼성중공업·한화오션)는 올해 1분기 각각 1602억원, 779억원, 52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3사가 동반 흑자를 낸 것은 지난 2011년 이후 13년 만이다. 대선조선 등 중견 조선업체도 하나둘 흑자로 돌아서고 있다.
조선소 내 작업량은 늘었다. 노동계는 급증한 작업량에 대한 대비가 부족해 중대재해사고가 이어진다고 지적한다. 김병훈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 노동안전보건국장은 2일 “조선소는 특성상 작업량이 많아지면 현장이 굉장히 복잡해진다”면서 “신규 노동자가 투입될 때 어떻게 현장에 배치하고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스템적인 대비가 부족해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금 체불도 잇따르고 있다.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는 지난달 17일 “한화오션 하청인 탑재 업체 여러 곳에서 2월과 4월에 이어 또다시 임금 체불이 발생했다”며 “최고경영진은 수십억원의 성과급을 챙기는데 생산을 담당하는 하청노동자는 임금 체불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노동자가 상생할 때 진정한 ‘호황’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는 “고용 구조를 안정화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지 않고서는 이 같은 중대재해사고는 반복될 것”이라며 “고용 구조 안정화와 함께 조선업 호황을 통해 늘어난 수익 중 일부를 사고 예방 조치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로 연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