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39) 개혁신당 의원은 22대 총선에서 거대 양당 후보를 꺾은 유일한 당선인이다. 유권자 평균 연령 34.65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은 선거구인 경기 화성을에 도전장을 내 극적인 승리를 거뒀다.
정계 입문 13년, 네 번 도전 끝에 국회에 입성하면서 보수 진영의 차기 주자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초선’ 의원으로서 입법 성과를 내는 동시에 당의 간판으로 당세를 확장해야 하는 임무를 지고 있다.
이 의원은 지난달 28일 국회 개혁신당 대회의실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호 법안’으로 선거개혁 관련 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대선거구제 도입과 연계해 비례대표제는 폐지하는 게 옳다고 본다”며 “2026년 지방선거에서 정치 지망생, 경력단절 여성 등을 대거 공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금개혁과 관련해선 “젊은 세대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은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정치인 이준석’과 ‘국회의원 이준석’의 차이는.
“지금까지의 이준석은 개인기로 버텨왔다. 이제 정부 자료제출 요구 등 권한이 생겼으니 메시지 이상의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하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젊은 선거구인 동탄에서 당선됐기 때문에 젊은 세대의 기대를 현실화하는 데 주력하겠다.”
-이준석의 ‘1호 법안’은.
“당 차원에서 선거개혁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중·대선거구제와 연계해 비례대표제를 폐지하는 게 옳다고 본다. 지금의 선거제도와 정치문화는 50대 이상 남성 비율이 과도하게 높다. 2026년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개혁신당의 콘셉트는 전국 대학가 주변에 그 대학 출신 인재를 공천하는 것이다. 생업에 바쁜 젊은 정치 지망생, 전문성 있는 경력단절 여성이 대거 공천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개혁신당은 ‘이준석 당’ 아닌가.
“정당은 민주적 절차를 통해 지도부를 선출하는 과정을 겪으며 발전한다. 개혁신당은 지금보다 몇백배 불어나야 수권정당이 될 수 있다. 그러려면 저부터 공간을 비워야 한다는 생각이다. 개혁신당 창업주로서 당에 위기가 닥치거나 안 좋은 선택이 나올 때 개입하고자 하는 욕구를 억제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본다.”
-대권 도전 의향이 있나.
“준비 없이 권력욕만으로 대권을 잡는 건 불운한 일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권력욕 하나로 버티고 있는 사람들이다. 저도 사십 줄에 접어들었다. 앞으로 어떤 콘텐츠를 채워가느냐에 따라 국민들의 시선이 달라질 거다.”
-개혁신당은 보수인가 진보인가.
“(그런 식의 규정은) 이분법적 틀에 가두려는 거다. 거대 양당 모두 보수성과 진보성을 상실했다. 어떤 보수가 장병 사망 사건에 윗선을 빼돌리려고 시도하나. 어떤 진보가 도덕성을 포기하고 정치를 하나. 사안마다 개혁신당이 보수냐 진보냐 묻겠지만 국민의힘이 보수 행태와 거리가 먼 행동을 하는 한 결코 같이 갈 수 없다.”
-보수는 몰락의 길을 걷고 있나.
“길을 걷는 게 아니라 이미 몰락했다. 지금 보수의 영웅 서사라는 게 얼마나 허접한지 보라. 총선에 대패하고도 다시 한동훈(전 비상대책위원장)을 붙들고 있다. 그런데 그 한동훈이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소신을 단 한 번이라도 이야기한 적 있나. 영웅 서사도 못 된다. 스포트라이트는 받고 싶은데 용기는 없는 거다.”
-윤 대통령이 바뀌어야 하나.
“기대하지 않는다. 대통령도 이제 64세인데 무엇을 새로 배워서 하겠나. 사람만이라도 적재적소에 쓰라고 권하고 싶다. 그게 우군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다.”
-윤 대통령과 대화할 생각은 없나.
“대통령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에 신용거래는 안 한다. ‘바뀌겠다’ 이런 말은 안 믿는다. 일단 박정훈 대령에 대한 공소 취소를 결정한다면 만나볼 의향은 있다.”
-개혁신당에 내각·대통령실 인사 제안이 온다면.
“안 받는다.”
-연금개혁에 대한 입장은.
“젊은 세대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은 절대 안 된다. 현재 논의되는 계수 조정안은 ‘더 내고 덜 받기’ ‘더 내고 더 받기’ 식의 말장난이다. 근본적인 변화가 아닌 이상 출산율은 계속 떨어지기 때문에 또 바꿔야 하고 그러면 국민연금의 신뢰도와 안정성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결국 기존 세대에게 적용되는 부과식 구연금과 미래 세대에게 새롭게 적용할 적립식 신연금을 구분하는 방향이 옳다고 본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