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FTA’ 기대 드러낸 中 언론… 한·중 관계 개선 긍정 신호

입력 2024-05-27 00:23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회담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중국 관영 매체와 전문가들은 26~27일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자유무역협정(FTA) 등 3국 협력에 진전을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이후 얼어붙은 한·중 관계 개선에 긍정적 신호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랴오닝사회과학원의 한반도 전문가 뤼차오와의 인터뷰를 빌려 “(이번 정상회의는) 동아시아 세 경제 강국의 협력 관계 회복에 대한 긍정적 진전”이라며 “동아시아를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만들고 세계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3국 FTA를 위한 새로운 단계의 협상을 촉진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 동북아연구소의 다즈강 소장도 “정상회의 재개는 전반적으로 도전보다 소통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며 “이번 회의를 통해 이견을 관리하면서 진전된 무역 활성화 조치 등 상생 협력을 촉진하는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영 중국망도 “정상회의는 전략적 소통 강화, 분쟁 통제, 신뢰 구축, 지역 내 진영 대립 완화와 효과적인 거버넌스 등의 문제를 올바른 방향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3국은 이미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일재경은 구체적으로 “3국 FTA가 완성되면 소비자는 15억2000만명,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GDP의 20% 이상, 3국 간 교역액은 전 세계의 약 20%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 된다”고 기대했다.

이들 매체는 한·일·중 관계의 진전을 가로막는 위험 요인도 남아 있다고 짚었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간주하는 대만 및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태도, 한·일·중 협력을 원하지 않는 미국의 개입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망도 “역내 안보와 관련된 중대하고 민감한 일부 의제에서 3국 간 공감대 형성과 협력의 돌파구 마련에는 어려움이 크다”고 지적했다. 다만 “지정학적 분쟁을 넘어 실무적 협력은 3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