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물가 2.3~2.4% 추세 확인되면 금리 인하 고려”

입력 2024-05-24 00:16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면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말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하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돼야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50%로 열한 번째 동결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통방)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4월 이후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져 물가 목표 수렴에 대한 확신을 갖는 데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현재의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통위원들은 이날 전원일치 의견으로 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본인을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은 3개월 후에도 3.50% 유지 의견을 제시했고, 1명은 내수 회복세와 물가상승률 둔화세를 고려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금리 인상 가능성에는 “물가가 확실히 오르면 고려해야겠지만 현 상황에서 가능성은 제한되지 않나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통화방향 결정문에서 향후 물가 경로에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8%를 기록한 뒤 2~3월 3.1%까지 올랐다가 지난달 다시 2.9%로 하락한 상황이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6%로 유지했지만, 하반기 전망치는 2.3%에서 2.4%로 0.1% 포인트 상향했다.

한은은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를 올리면서 물가를 덩달아 상향 조정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성장률을 높인 요인의 4분의 3이 순수출 증가에서 기인한 만큼 내수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면서 “정부의 물가 대책 등 영향으로 내수가 물가 상승 압력을 제한하는 쪽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 시기는 점점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첫 금리 인하 시점을 7~8월로 관측했으나 지금은 ‘10~11월’ 의견이 힘을 얻는다. 연내 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금리를 내려야 한은도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며 “인하는 연내 한 차례이거나 아예 없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