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6만건 넘는 뉴스로 리스크 추출… 물류 불확실성 해소

입력 2024-05-21 03:33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이 20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진행된 ‘첼로스퀘어 미디어데이’에서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한 삼성SDS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삼성SDS 제공

지난 4월 중동에서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이 현실화하자 삼성SDS는 이를 즉시 감지해 고객사에 이스라엘 도착 예정 항공 물동에 영향이 있다고 알렸다. 여기에 확전 가능성이 제기되자 오만, 아랍에미리트(UAE) 등 인근 항구까지 해상으로 운송한 후 주변국을 활용하는 대체 운송 방안까지 제시했다. 고객은 이렇게 조합된 ‘플랜B’를 활용해 예정된 시간에 운송을 마칠 수 있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 활약 덕이었다.

삼성SDS는 20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첼로스퀘어 미디어데이’를 열고 AI를 활용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으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는 방안을 소개했다. 첼로스퀘어는 삼성SDS가 2021년 출시한 디지털물류 서비스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도 글로벌 공급망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홍해 물류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복합적 이슈에 직면했다. 물류 불확실성이 상수가 된 셈이다.

이에 삼성SDS는 머신러닝과 생성형 AI를 첼로스퀘어에 접목시켜 공급망 리스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했다. 먼저 매일 수집한 6만건 이상의 글로벌 뉴스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해 물류 리스크를 자동 추출한다. 추출된 리스크는 오픈AI의 ‘챗GPT-4’를 활용해 위험도를 3단계로 구분한다.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동이 자동으로 산출되면 삼성SDS 물류 전문가들이 대응 방안을 수립한다. 이를 통해 대응 방안 마련에 걸리던 시간을 기존 24시간에서 2시간 정도로 단축했다. 삼성SDS는 최근에도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향하던 화물선이 홍해에서 후티 반군의 미사일에 피격되자 상황 파악에 이 시스템을 활용했다.

삼성SDS는 생성형 AI를 물류운영 업무 자동화에도 대거 활용했다. 이전에는 고객들이 첼로스퀘어에서 각 메뉴를 클릭해 정보를 파악해야 했지만 이제는 생성형 AI와의 대화만으로 견적 조회, 필요한 컨테이너 개수 산정 등의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예상 이동시간 및 항만 체류시간 등을 계산해 정교한 도착예정시간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현재 첼로스퀘어는 30개국에서 활용되고 있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로 물류가 멈춰있는 것보다 추가 비용을 들여서라도 대안 경로로 회피하는 것이 총손익을 따졌을 때 훨씬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