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이 의대 증원 집행정지 처분을 기각하면서 대입 수험생을 짓눌러온 불확실성 중 가장 큰 부분인 ‘정원’ 문제가 해소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학년도 의대 입학정원이 사실상 정부 요구대로 굳어졌다.
16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대학들로부터 제출받은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변동 사항을 심의하고 있다. 항소심 재판부 요구에 따라 승인 절차가 중단된 상태였지만, 법원에서 ‘청신호’가 켜지면서 이달 중으로 의대 정원 변동 사항을 승인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들은 대교협 승인이 떨어지면 이달 말 수시 모집요강을 확정해 수험생에게 공지한다. 의대 증원이 반영된 대학 학칙 개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수험생 입장에선 가장 큰 변수가 해소됐다. 의대가 있는 39개 대학(차의과대 제외)이 대교협에 제출한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전년보다 1469명 늘어난 4487명이다. 이번 결정으로 의대 증원 규모가 확정됐다. 최상위권 수험생이 지원하는 의대 입시는 대입 전반에 영향을 끼친다. 의대 입시 결과는 치대·한의대·약대 같은 ‘메디컬 계열’뿐 아니라 상위권, 중위권 대학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준다.
몇 가지 변수가 남았다. 먼저 비수도권 대학의 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율이다. 지역인재전형 규모가 늘어나면 수도권 수험생 입장에선 전체적인 의대 입학 문이 좁아진다. 서울·수도권 의대 경쟁이 더 치열해져 합격 가능 점수 역시 내려가지 않거나 오히려 뛸 수 있다.
수시와 정시 비율 결정도 중요하다. 비수도권 의대들은 통상 수시에서 지역인재전형을 비중 있게 선발하고, 정시에서 수도권 수험생에게도 문호를 열어 전국 단위로 선발한다. 마지막으로 n수생 규모와 수준에 따라 입시 결과는 또 출렁일 수 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