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16일 우원식 의원이 선출된 건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조차 ‘명심’(이재명 대표 의중) 일변도의 당 및 국회 운영을 해선 안 된다는 강한 우려의 표출일 것이다. 당초 의장으로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많았다. 실제 추 전 장관한테 명심이 쏠렸고, 그를 위해 다른 후보들이 중도 사퇴하기도 했다. 이에 추 전 장관은 “당심이 명심이고, 명심이 곧 민심”이라며 충성 맹세에 가까운 발언을 쏟아냈다. 이런 비정상적인 일들이 계속 터지니 민주당 구성원들조차 참다못해 추 전 장관 대신 우 의원을 선택하는 이변이 나온 것이다.
민주당이 국회의장의 중립 의무보다 당심과 명심을 우선시하겠다는 후보를 택하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경선 과정에서 노출된 이 대표 ‘1극 체제’의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민주당은 원내대표를 찐명(진짜 이재명)계로 추대한 데 이어, 이번에 국회의장까지 찐명계로 교통정리하려 했다. 이제는 연임 불가피론을 내세우며 대표마저 재차 추대할 움직임이다. 공천에서부터 주요 당직까지 찐명이라야 살아남고, 찐명이라야 한 자리 차지하는 구조가 점점 굳어지고 있다. 그런 사이 당내 민주주의는 후퇴하고 이곳저곳에서 ‘이(李)비어천가’만 요란해졌다. 하지만 이번 경선 결과에선 민심을 거스르는 ‘그들만의 명심·당심’으로는 결코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는 게 확인됐다. 특히 이 대표 1극 체제는 당의 다양성을 해치면서 독선의 정치를 낳을 수 있다는 것도 드러냈다. 이 대표와 민주당은 이런 잘못된 정치에서 당장 빠져나와야 한다.
우 의원은 여러 우려 속에 대안으로 선택된 만큼 국회 운영에 있어 당심이나 명심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 또 중립을 지키는 노력을 한시라도 포기해선 안 된다. 경선 과정에선 필요에 따라 의장 직권상정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지만, 의장이 되어선 여야 간 중재를 통해 타협의 정치를 이끌어내야 한다. 특히 22대 국회는 나라 안팎으로 어려움이 클 때 개원하는 만큼 다른 어떤 법안보다도 우선은 민생입법에 주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