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야후 보고서에 네이버 지분매각 빠질 것”

입력 2024-05-15 00:11
시민들이 14일 서울 서초구에 있는 라인프렌즈 강남 플래그십스토어(체험 판매장)를 둘러보고 있다. 앞서 일본 정부가 지난 3월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행정지도를 내리면서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라인야후가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에 따라 제출할 조치보고서에 네이버의 관련 지분 매각 내용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네이버의 지분 매각 관련 내용은 일본 정부에 라인야후가 제출하는 행정지도 조치 보고서에서 빠질 것”이라며 “완전히 끝났다고 단언하긴 어렵지만, 적어도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작은 사태는 종료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부는 부당한 압박에 의해 우리 기업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상황을 면밀히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네이버와 계속해서 소통하고 있다”며 “라인야후의 조치 보고서에 ‘지분 매각’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동안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처리와 관련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대통령실은 전날 라인야후 사태가 불거진 후 발표한 첫 공식 입장에서 네이버 측에 “더 진실되고 구체적인 입장을 달라”고 공개 요청했다. 대통령실이 이날 보다 명확한 입장을 밝힌 건 네이버로부터 당분간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일본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발생한 네이버클라우드의 보안 사고를 문제삼아 지난 3월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내렸다. 이 행정지도에는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됐고, 라인야후는 7월 1일까지 조치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는 일본의 대표적 메신저앱인 ‘라인’을 운영하는 라인야후의 모회사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 보유하고 있다. 그사이 정치권에선 윤석열정부의 대일 외교 실패 논란까지 불거졌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되는 경우 일본 정부가 자본구조와 관련해 네이버의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우리 기업의 의사에 조금이라도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 대해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이틀 연속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성 실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차별적 조치나 기업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면밀하고 강력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