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민생물가 태스크포스(TF)’는 14일 범부처 회의를 열고 장바구니물가 안정화를 위한 구조적 방안들을 논의했다. TF를 이끄는 성태윤(사진) 정책실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한 각 부처 차관들에게 “직접 현장에 가서 물가를 체감하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생물가TF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성 실장 주재로 두 번째 범부처 회의를 열고 가격 변동 폭이 크고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농축수산물 등의 물가 관리 방안을 토론했다. 회의에서는 유통 및 무역구조 등 구조적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주로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의 차관이 각각 참석했다.
성 실장은 차관들에게 “통계와 수치로 보고받는 것도 좋지만 직접 시장 등 현장을 방문해 물가 현황을 체감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의 체감은 경제지표 동향과 다를 수 있고, 일부 품목은 책상에서 보고되는 것과 달리 변동 폭이 심할 수 있다는 취지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보다 낮아진 2.9%로 3개월 만에 2%대를 기록했지만 서민들의 고물가 호소는 여전한 실정이다.
성 실장은 회의에서 지난 11~12일 주말을 이용해 직접 시장, 대형마트 등을 돌며 과일·채소 등 주요 품목의 가격 상황을 점검한 사실도 밝혔다. 공식적인 업무로 찾은 것이 아니라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성 실장은 “실제로 돈을 내고 뭔가 사려 할 때에는 지표상의 물가상승률과 별개의 느낌이 들 수 있다”며 본인이 느낀 점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생물가TF는 저성장 국면 속에서 물가가 높게 형성된 시간이 지속되자 구조적 요인을 살피자는 취지에서 출범했다. 물가상승률이 안정된다 하더라도 워낙 고물가 기간이 길었던 탓에 서민의 체감 경기는 한동안 나아지지 못할 것이라고 민생물가TF는 우려하고 있다. 국제유가 동향,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불확실성 요인도 상당하다.
민생물가TF는 보다 근본적으로 물가 압력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과일 등 개별품목에 대해 할당관세나 할인 지원 등의 대책을 시행해 왔지만 앞으로는 수급부터 저장, 유통과 관련한 구조 전반이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중간 유통과정을 조금 줄일 방안이 있는지, 필요한 품목을 긴급하게 수입할 방안을 빨리 마련할 수 있는지 등의 종합대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