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해외 진출을 종합 지원하는 ‘해외 진출 전용 바우처’를 도입하기로 했다. 오는 2027년까지 혁신형 내수기업 1000개를 수출기업으로 육성하고 3000개를 수출 100만달러 기업으로 키운다.
오영주(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8일 서울 구로구 폴라리스오피스에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중소·벤처기업 글로벌화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수출에 초점을 맞춘 정책도 해외 진출로 확장해 해외 진출 전략 수립, 현지시장조사, 법인 설립 및 인·허가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해외 진출 단계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 지원하는 해외 진출 전용 바우처를 내년 상반기 도입하고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등 해외거점을 통해 해외법인을 평가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법인에 자금을 공급한다.
중기부는 혁신형 중소기업, 성능인정기업, 팁스(TIPS·창업지원 프로그램) 기업 등 혁신성을 인정받은 내수기업 1000개를 2027년까지 수출기업으로 육성한다. 전문가그룹을 활용한 수출전략 수립, 레퍼런스(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영문 성능인증서 발급, 구매자 발굴, 현지에서 네트워킹할 수 있는 ‘K-혁신사절단’ 파견 등을 통해 이들 기업을 지원한다.
또 2027년까지 수출 100만달러 기업 3000개를 육성한다. 수출 100만달러 미만 수출 초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구매자 협상, 수출계약서 작성·검토 등 수출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해주는 ‘수출닥터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수출 고성장 기업을 위한 스케일업(육성) 프로그램도 신설해 수출바우처, 수출 금융 지원 한도를 2배로 확대하고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자동 지정해 각종 우대 혜택을 부여할 예정이다.
유통 대기업 및 관계부처와 한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K-전락품목’을 선정해 지원한다. 오 장관은 “소액 다품종을 하는 기업 중 100만 달러로 넘어올 수 있는 기업을 밀착해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 벤처캐피털의 검증과 투자를 받은 유망 스타트업을 글로벌 투자자와 연계하는 ‘K-글로벌 스타(K-GLOBAL STAR)’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해외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 기술보증기금 보증, 모태펀드 매칭 투자 등의 정책 패키지를 지원한다.
중기부는 지난달 외교부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재외공관 중심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협의체’도 구축 중이다. 국내에는 이 재외공관 협의체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유관기관, 민관이 참여하는 국내 원팀 협의체를 구성한 상태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