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이 22대 국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는 물론이고 이를 포함한 18개 상임위원장을 모두 가져갈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해 “나중에 크게 후회할 수 있다”고 견제했다.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운영위원장과 법사위원장은 여야가 나눠 맡았던 것이 오랜 전통”이라며 “그걸 바꾸면 민주당이 소수 정당, 혹은 여당이 됐을 때 굉장히 곤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가 최근 “원 구성 협의가 지연될 경우 다수결의 원칙에 따르는 것이 적절하다”며 상임위원장 독식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한 발언이다.
국민의힘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송석준 의원도 이날 YTN라디오 인터뷰에서 “야당이 밀어붙이다 보면 결국은 독박 쓰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민주당이 모든 상임위원장직을 맡는다 해도 국민의힘이 이를 저지할 수는 없다. 국회 관계자는 “국회법상 상임위원장은 본회의에서 선출하게 돼 있어 민주당이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 선출안을 표결에 부치면 국민의힘이 막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4년 전 21대 국회 출범 직후에도 원내 다수당이었던 민주당은 18개 상임위를 모두 가져갔다. 다만 당시에는 민주당이 집권당이라 ‘거대 여당의 독주’ 시선을 부담스러워하는 기류가 있었고, 결국 1년 뒤 원 구성 재협상을 통해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국민의힘에 넘겼다.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서는 차기 원내지도부가 실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당선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다른 상임위를 모두 넘겨주더라도 특검법과 관련된 법사위원장 등은 사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