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사 공동대출로 PF 시장 실탄 마련… 캠코 펀드도 투입

입력 2024-05-08 02:34

금융 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을 위해 이르면 이번 주 ‘PF 정상화 방안’을 내놓는다. 부실 사업장은 정리하고 정상 사업장에는 신규 자금을 공급해 PF 시장 구조조정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은행·보험권이 공동 조성하는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과 1조원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펀드가 실탄으로 투입될 전망이다.

7일 금융 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르면 오는 10일 부동산 PF 정상화 계획을 담은 최종안을 발표한다. 일시적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PF 사업장에 신규 자금 투입을 유도하고, 부실 사업장은 신속히 처리하기 위한 사업성 재평가 기준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전국 3000여곳 PF 사업장을 재분류해 옥석 가리기를 본격화한다는 게 금융 당국의 구상이다.

먼저 은행과 보험사가 공동 펀드를 조성해 자금을 공급하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본 PF로 넘어가지 못한 브리지론(토지매입 단계 PF) 사업장을 정리할 실탄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은행·보험권이 자금을 모아 사업성은 있지만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사업장의 채권을 인수하거나 사업장을 매입하는 방식이다.

금융 당국은 PF 사업장 재구조화를 위해 ‘뉴머니’를 투입하는 은행·보험사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금융사들이 사업성을 갖춘 곳이 많지 않은 브리지론 인수에 난색을 보여서다. 인센티브로는 PF 채권 인수 시 건전성 분류를 상향 조정해 충당금 적립 부담을 낮춰주거나 향후 대출 관련 부실이 발생해도 면책 범위를 확대해주는 방안이 거론된다.

1조원대 캠코 펀드를 투입하는 방안도 유력하다. 지난해 10월 캠코가 민간 운용사와 손잡고 조성한 캠코 펀드는 브리지론 단계의 부실채권 등을 매입하는 역할을 한다. 금융 당국은 캠코 펀드에 부실 사업장을 싸게 넘기면 향후 사업장을 되살 수 있도록 우선매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매도자의 매각 유인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매도자인 PF 대주단은 캠코 펀드 운용사와 가격 눈높이 차이를 이유로 매각을 꺼려왔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모든 카드를 올려놓고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PF 사업성 재평가를 위한 기준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부실 사업장으로 분류되면 그동안 만기를 연장해온 ‘좀비 사업장’들에 대한 경·공매 압박이 강해질 전망이다. 앞서 제2금융권은 부동산 PF 대출이 6개월 이상 연체되면 경·공매를 실시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바 있다.

김준희 기자 zuni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