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캄보디아 대사관을 비롯해 5개 재외공관에 대한 테러 경보를 4단계 중 3단계인 ‘경계’로 격상했다. 우리 재외공관원에 대한 북한의 위해 시도 첩보를 입수한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2일 대테러센터 주관으로 테러대책 실무위원회를 열어 “캄보디아·라오스·베트남 대사관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중국 선양 총영사관 등 5개 재외공관에 대한 테러 경보를 ‘관심’에서 ‘경계’로 두 단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정보당국은 우리 공관원을 대상으로 한 북한의 보복 시도 첩보를 입수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코로나19 종식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외에 장기체류한 북한 파견자들의 귀북이 시작됐다”며 “북한 체제에 회의를 느낀 공관원·무역일꾼·유학생 등 엘리트들의 이탈이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해외 파견자를 관리·감시하는 공관 간부 및 보위성 등 특수기관원들이 이탈 사고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김정은에게 외부 소행이라고 허위 보고하고 우리 공관원을 대상으로 한 보복을 기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테러 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구분된다. 경계는 테러 발생 가능성이 농후한 상태로 ‘테러조직이 우리나라를 직접 지목·위협하거나 국제테러조직·분자의 잠입 활동을 포착했을 때’ 발동된다. ‘국가중요행사 개최 D-3’ 등의 경우도 포함된다.
북한의 테러 위협에 따른 경계 발령은 이례적이다. 대테러센터 테러경보발령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경계 경보가 내려진 것은 한·아세안 정상회의(2014·2019년),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2018년), U-20 월드컵 축구대회(2017년),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2015년), 교황 방한(2014년) 등 모두 국가중요행사에 해당됐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