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대구 공직사회 변화… 고용연장·출산가산점 확대

입력 2024-05-03 02:40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대구 공직사회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출산 혜택과 고용연장 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이를 반영한 정책이 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정장수 경제부시장, 김위상 한국노총대구지역본부 의장, 김인남 대구경영자총협회 회장 등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고용·노사민정협의회를 열고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계획’을 의결했다.

다자녀가구 공무직 근로자를 정년퇴직 후 기간제로 재고용하는 내용이다. 기간은 2자녀의 경우 1년, 3자녀 이상의 경우 2년이다. 시청과 산하 공공기관별로 단체협약 등의 절차를 거쳐 7월부터 다자녀가구 공무직 계속고용 정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정 경제부시장은 “공무직 근로자에 한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정년연장이라는 화두를 던짐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다자녀 가정을 우대한다는 정책목표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 달서구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출산실적 가산점 대상을 첫째자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달서구는 지난 2019년 대구에서 처음으로 둘째자녀 이상 출산직원에게 근무성적 평정시 0.5~1점의 실적가산점을 부여했다. 최근 저출산이 더욱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자 내년 상반기부터 첫째 0.3점, 둘째 0.7점, 셋째 이상 1.5점의 출산실적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달서구는 직원들의 결혼과 출산 장려를 위해 미혼직원에게 데이트 비용 20만원 지원, 자녀출산 시 복지포인트 20만원 추가지급, 2개월 이상 근무한 육아휴직공무원 성과상여금 전액 지급 등도 시행 중이다.

특히 인구문제 해결의 첫 단추를 결혼이라고 보고 지난 2016년부터 전국 최초로 결혼장려팀을 신설해 결혼, 출산장려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혼남녀 만남 행사와 민·관 협력 등을 통해 지금까지 165커플의 결혼을 성사시켰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2일 “달서구의 노력이 저출산 해결을 위한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결혼, 출산 지원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