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통신 서비스를 잘 이해하는 통신전용 인공지능(AI) ‘텔코 거대언어모델(LLM)’을 오는 6월 선보인다.
SK텔레콤은 3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제, 공시지원금 등 통신 전문 용어와 통신사 내부 지침을 학습한 텔코 LLM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텔코 LLM은 오픈AI의 GPT 같은 범용 LLM이 아니라 통신업에 특화된 LLM이다. 텔코 LLM은 AI 고객센터(AICC), 유통망, 네트워크 운용, 사내 업무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텔코 LLM은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에이닷엑스(A.X), GPT-4, 앤트로픽의 클로드3 등 여러 범용 LLM에 통신사 서비스, 멤버십 혜택 등 통신 데이터를 학습시킨 뒤 미세 조정(파인 튜닝)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후 상담사들이 품질, 만족도 등을 평가해 부족한 부분을 추가 학습한다.
SK텔레콤이 ‘멀티 LLM’ 전략을 구사한 건 각 LLM의 강점을 최대한 살려 텔코 LLM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다. 상담 요약, 고객 감정 파악 등 분야에 따라 높은 성능을 보이는 모델이 다르다는 이유에서다. SK텔레콤은 앞으로 구글의 제미나이 등 다른 LLM 활용 가능성도 열어놨다.
텔코 LLM을 활용하면 범용 LLM과 비교해 통신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생성형 AI 작업을 할 수 있다. 고객센터 분야에선 상담 소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SK텔레콤은 통신사들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구축, 개발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 플랫폼’도 공개했다. SK텔레콤은 이를 통해 글로벌 통신 시장을 공략한다는 구상이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