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신비의 세계이며 위대한 성전입니다. 종교는 지친 육신과 영혼을 평온하게 하며 희망을 품게 합니다. 숲은 현대의 우리가 머무는 삶의 현장과 다른 모습으로 우리를 맞아 줍니다. 숲에서는 나를 찾을 수 있는 명상의 기회와 자연을 창조한 신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현대 물질문명에 찌든 우리에게 영성적 의미가 있습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산본중앙교회 담임인 박상훈(61) 목사는 산림치유사 국가자격증을 보유했다. 산림청은 2011년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숲 치유란 향기 경관 등 숲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고 규정했다. 산림치유 목회자는 성도들이 숲에서 창조주의 위대하고도 심오한 섭리를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삶에 대한 지혜와 철학까지 접하도록 이끈다. 박 목사는 “숲에는 생명성 연출성 영속성 감각성 그리고 신성이 있다”면서 “매주 수요일 성도들과 함께 생태치유교실을 열어 산림치유 여정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목사를 비롯해 기후위기 시대 숲과 교회를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이 30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에이레네홀에 모였다(사진).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연구사는 “코로나 시대 ‘손만 잘 씻으면 이 위기가 지나갈 거야’ 했다가 경제불황이 왔고 불황의 파고를 넘은 후에는 기후변화란 더 큰 파고가 닥치고 있다”면서 “기후변화 이후엔 생물 다양성 붕괴란 파국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승현 주안대학원대 선교학 교수는 창조신학 관점에서 본 ‘은총의 숲’을 이야기했다.
은총의 숲은 기후위기와 생물 다양성 위기 가운데 창조 세계의 회복을 위해 기독교환경운동연대와 한국교회환경연구소가 몽골과 네팔에 조성하고 있는 숲을 일컫는다. 몽골은 아르갈란트 솜 지역에 33만㎡ 규모의 숲이 조성돼 있으며 네팔엔 남부 헤토타 지역에 김경수 선교사와의 협약으로 나무 심기가 진행되고 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