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尹이 거부권 행사한 법안 재발의 인식, 이재명과 공유했다”

입력 2024-04-30 01:03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 23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광주전남 총선승리 보고대회’에서 검지손가락을 치켜들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회동에서) 지금까지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중요 법안들을 22대 국회에서 재발의해야 한다는 인식의 공유가 있었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MBC라디오에 출연해 지난 25일 있었던 이 대표와의 만찬 회동 결과를 설명하며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남용해왔다는 판단을 공유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대표와 이 대표는 4·10 총선 이후 이뤄진 첫 회동에서 의제 관계 없이 자주 만나 대화하고 공통의 법안과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조 대표는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회담 전 범야권 연석회의를 열자는 자신의 제안을 민주당이 거절한 데 대해 “민주당의 판단을 존중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시간적 순서는 맞지 않게 됐지만 이 대표가 앞으로 다른 야권 대표들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해소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2대 국회가 열리면 야권 공통의 법안과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대표 또는 정책위의장 간 테이블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원내 교섭단체 요건(20석) 완화와 관련해선 민주당에 불편한 심기도 내비쳤다. 그는 “조국혁신당이 먼저 민주당에 요건 완화를 요구한 적이 한 번도 없다”며 “민주당이 먼저 약속했기 때문에 민주당이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4·10 총선을 앞두고 정치개혁 과제로 교섭단체 구성 요건 하향 조정을 약속했지만 선거가 끝나자 현행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장을 바꿨다.

총선에서 비례대표 12석을 확보한 조국혁신당이 구상한 범야권 공동 교섭단체는 현재로선 무산된 상태다. 민주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소속으로 당선된 비례대표 14명 중 10명은 민주당에 합류했고 4명은 원래 속해 있던 군소정당으로 복귀했다.

조 대표는 “지금 시점에선 공동 교섭단체 구성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인정했다. 다만 그는 “올해와 내년을 거치면서 소수 정당의 변화가 있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저희가 의석수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